11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기용-
dc.date.accessioned2024-01-09T01:29:14Z-
dc.date.available2024-01-09T01:29:14Z-
dc.date.issued2023-12-
dc.identifier.citation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 11, NO 4, Page. 476-483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067-
dc.description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3차원 유한요소 모델링을 통해 콘크리트 기둥 단면의 균열에 대한 철근의 부식과 하중의영향을 해석적으로 분석했다. 철근 부식에 대한 콘크리트 계면 공극의 완충 효과를 반영했으며, 철근의 부식과정은 표면하중을 통해 그 직경을 점진적으로 확장시킴으로써 구현했다. 이러한 변수들을 통한 해석적 접근을 통해 단면균열에 대한(1) 기하학적 조건으로 대변되는 단면에서의 위치와 (2) 경계조건으로 대변되는 축방향 하중과 철근 부식량의 영향성을 분석했다. 철근-콘크리트 계면 균열은 계면 공극을 압도적으로 넘어서는 양의 부식이 진행된 조건에서 압축변형에 의해 발생됐으며, 기둥 표면의 균열은 축하중에 의한 인장변형으로 발생되며, 표면에서 발생된 균열은 기둥 단면의 내부로 발달됐다. 인장변형에 의한 계면균열은 축하중에 의존적이었으며, 단면의 피복부 균열 보다 선행적으로 발생됐다. 또한 축하중은 압축변형에의해 발생되는 계면 균열의 분포와 속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인장 변형에 의한 균열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resent study concerns modelling the structural behaviour for concrete structure into the crack initiation at corrosion of steels. The degradation source included the axial load and steel corrosion. A development of the rust formed on the steel surface was considered with the interfacial gap between steel and concrete. As a result, the tensile damage could occur on the surface of concrete into the cracking with no steel corrosion, which could be further developed by the increasing rust formation, while the crackinen_US
dc.publisher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en_US
dc.title철근 부식과 축방향 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기둥 단면의 손상 평가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4-
dc.relation.volume11-
dc.relation.page476-483-
dc.relation.journal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dc.relation.code2023030120-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c.identifier.pidkann-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공학대학) >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건설환경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