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 0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를 위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의 고령 친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 -상하이 도심 지역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Title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를 위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의 고령 친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 -상하이 도심 지역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lderly Friendly Design of Community Public Space for Aging in Place - Centered on around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central area of Shanghai -
Author
김경숙
Keywords
에이징 인 플레이스; 커뮤니티 공용 공간; 고령 친화 디자인; 이용 만족도; 생활 만족도; Aging in Place; Community Public Space; Age-Friendly Design; Use Gratification; Life Satisfaction
Issue Date
2023-08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Citatio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 18, NO. 5, Page. 385.0-398.0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고령화시대로 인해 야기되는 노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에서는 사회경제적 현황 및 전통적 가족 개념이 반영된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가 현재 중국의 주류 양로(養老)방식으로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커뮤니티 공용 공간은 에이징 인 플레이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현재 중국에서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며, 고령층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 또한 매우 부적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사회에 대처하고 기존의 커뮤니티 공용 공간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고령자를 위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 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고령 친화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이론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관련 변수의 개념을 정리하고 연구 모델을 수립하여 변수 간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국 도시 및 지역의 고령 인구수와 비율에 따라 상하이 도심 지역의 낙후된 커뮤니티에 거주하는 60세 노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진행한 설문조사는 SPSS 및 Amo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커뮤니티 공용 공간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 순위를 도출하여 고령 친화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였다. (결과)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인 '접근성', '편의성', '안전성', '식별성', '쾌적성', '다양성'은 노인의 커뮤니티 공용 공간 이용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개방성'은 이용 만족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가 노인의 커뮤니티 공공 공간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일부 채택하였다. 또한 노인의 커뮤니티 공용 공간 이용 만족은 노인의 에이징 인 플레이스 생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관련 가설을 채택하였다. 동시에 표준화된 경로계수의 크기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 순위는 안전성>편의성>접근성>다양성>쾌적성>식별성의 결과로 나타났다. (결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노인의 특성과 니즈를 파악하여 커뮤니티 공용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고령 친화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커뮤니티 공용 공간의 개선 시. 해당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 및 원칙을 합리적으로 활용하여 노화로 인한 각종 스트레스와 어려움에 직면한 고령층에게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안전하고 편리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을 제공하는 시도는 향후 에이징 인 플레이스를 보다 잘 지원하기 위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 고령 친화 디자인에 대하여 시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Background and Purpose) To solve the problem of aging, “Aging in Place,” which reflects the socioeconomic situation and traditional family concepts, is the first choice in China. However, community public spac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supporting aging in places, are currently insufficient to meet the needs of elderly people in China. Therefore, to cope with an aging society and improve the existing community public space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ortant elderly friendly design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to community public space design for the elderly and present age-friendly design principles. (Method)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prior research, the concept of correlative variables was summarize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nd hypotheses between variables were proposed. In addition, based on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the aging population in cities and regions in China, 60-year-old people living in backward communities in downtown Shanghai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The search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the Amos statistical program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the importance ranking of design elements was obtained, which indicates the direction for the aged-friendly design of community public spaces. (Results) Aged-friendly design elements such as “accessibility,” ”convenience,” ”safety”, ‘“identifiability,” “comfort,” and “diversity”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community common space, but the “openness”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use. Therefore, we adopted part of the hypothesis that some aged-friendly design elements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utilization of common spaces among the elderly community. Furthermor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lderly with the use of community common spaces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life of Aging in Place; therefore, relevant assumptions were used. Simultaneously, the influences of elderly affinity design elements on the size of th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ranked as follows: safety> convenience> accessibility> diversity> comfort > identifiability. (Conclusion) To respond to an aging society,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elderly, derived elderly friendly design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to community public spaces, and presented elderly friendly design principles. Based on this, when improving the existing community public space, elderly friendly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should be reasonably utilized to provide a safe and convenient community public space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while facing various stress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aging. Therefore, these meaningful attempts are expected to play an enlightening role in supporting the elderly-friendly design of community common spaces in Aging in Place in the future.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9002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815
ISSN
1976-4405
DOI
10.35216/kisd.2023.18.5.38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