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2 0

수술실 간호사 대상 방사선 안전교육 콘텐츠 개발 및 효과

Title
수술실 간호사 대상 방사선 안전교육 콘텐츠 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ffect of Radiation Safety Education Content for Operating Room Nurses
Author
구현정
Alternative Author(s)
Ku, Hyon Jeong
Advisor(s)
황선영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안전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며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시차 설계를 적용하였다. 서울 소재 상급 의료기관인 S 대학교병원 수술실에 근무하고 수술에 참여하는 수술실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총 60명의 간호사를 대조군 30명, 실험군 30명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조군의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3월 10일부터 4월 7일까지이며 실험군은 2023년 4월 8일부터 5월 6일까지였으며, 대조군과 실험군에게 동일한 설문지를 제공하여 사전 조사를 실시하고 4주 후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군에게는 사전 조사 후 수술실 간호사를 위한 방사선 안전교육 콘텐츠를 방사선이란, 방사선 장비, 방사선 피폭, 방사선 차폐, 방사선 보호구 점검에 대한 내용으로 QR 코드와 URL주소를 이용하여 제공되었다. 교육자료는 파워포인트로만들었고 온에어 프로그램의 인공지능 음성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교육콘텐츠의 교육 시간은 8분 40초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 test, Analysis of covariance(ANCOVA)로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1: 방사선 안전교육 콘텐츠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콘텐츠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방사선 안전관리 지식점수 변화의 값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실험군은 사전 조사와 사후 조사 차이값이 6.17±0.28점으로 나타났고, 대조군은–0.13±1.49점으로 나타나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차이가 있었다. 사전 조사와 사후 조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1은 지지되었다(t=-7.047, p<.001). 2. 가설2: 방사선 안전교육 콘텐츠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콘텐츠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방사선 안전관리 태도점수 변화의 값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실험군은 사전 조사와 사후 조사 차이값이 0.54±0.80점으로 나타났고, 대조군은 0.14±0.49점으로 나타나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차이가 있었다. 사전 조사와 사후 조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2는 지지되었다(t=-6.247, p<.001). 3. 가설3: 방사선 안전교육 콘텐츠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콘텐츠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방사선 안전관리 행위점수 변화의 값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실험군은 사전 조사와 사후 조사 차이값이 0.87±0.05점으로 나타났고, 대조군은 0.18±0.14점으로 나타나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차이가 있었다. 사전 조사와 사후 조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3은 지지되었다(t=-6.180, p<.001). 4. 가설4: 방사선 안전교육 콘텐츠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콘텐츠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방사선 안전관리 자기효능감점수 변화의 값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실험군은 사전 조사와 사후 조사 차이값이 2.39±0.56점으로 나타났고, 대조군은 0.07±0.14점으로 나타나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차이가 있었다. 사전 조사와 사후 조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4는 지지되었다(t=-8.177, p<.001). 본 연구에서 개발된 QR코드와 URL주소를 활용한 수술실 간호사를 위한 방사선 안전교육 콘텐츠는 4주 후 측정한 방사선 안전지식, 태도, 행위, 자기효능감의 점수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안전 인식 개선 및 안전 간호 활동 증진을 위해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육콘텐츠로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417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43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대학원) > DEPARTMENT OF CLINICAL NURSING(임상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