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 0

성인의 죽음수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진정성의 매개효과

Title
성인의 죽음수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진정성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s of Meaning of Life and Authentic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ccept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Adults
Author
장재원
Alternative Author(s)
Jaewon Jang
Advisor(s)
장유진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죽음수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진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인 398명을 대상으로 죽음 태도 척도 (DAP-R), 삶의 의미 척도(MLQ), 진정성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SWB)에 대한 자료 를 온라인으로 수집했으며 SPSS 27.0과 Process Macro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수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삶의 의미가 완전매개하였다. 즉 죽음을 담담하게 수용할수록 삶의 의미가 높아져서 주관 적 안녕감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죽음수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진정성이 완전매개하였다. 즉 죽음을 담담하게 수용할수록 진정한 자신의 모습대로 살고자 하여 주관적 안녕감이 높아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죽음수용과 주관적 안녕 감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진정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고 통과 괴로움을 일으키지만 삶의 유한한 본질을 일깨워주는 죽음을 담담하게 수용하면 삶의 의미가 높아져 진정한 자신의 모습대로 살고자 하여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행복 한삶을살게된다는것이다. 본 연구는 고통을 불러일으키는 죽음에 대해 주로 연구되는 병리적 측면 대신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측면을 연구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실존주의 주제에 대한 양적 연구를 통해 실증적인 검증을 하였다는 의의를 가지고, 이 과정에서 삶의 의미와 진정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 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358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39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S](상담심리대학원) > HUMANITIES & SOCIAL SCIENCE(인문사회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