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 0

상담자의 공감피로가 회복탄력성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전문직 정체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Title
상담자의 공감피로가 회복탄력성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전문직 정체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Counselors’ Compassion Fatigue on Resilience and Burnou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Professional Identity
Author
송수정
Alternative Author(s)
SONG SOO JEONG
Advisor(s)
장유진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상담자의 공감피로와 소진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이런 매개효과를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이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405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각 변인은 공감피로 척도(CFT), 회복탄력성 척도(KRQ-53), 상담자 소진 척도(MBI),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 척도(K-CPI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설문 조사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9.0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3단계 회귀분석, 모델 1 분석, 모델 14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공감피로, 회복탄력성, 상담자 소진,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공감피로가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공감피로는 상담자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회복탄력성의 감소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회복탄력성과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서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의 강도가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감피로가 회복탄력성을 통해 상담자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이 공감피로로 인한 회복탄력성의 감소를 통해 상담자 소진으로 이어지는 부정적인 간접효과를 보호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상담자의 공감피로가 회복탄력성을 위협하여 상담자 소진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매개경로의 이해를 돕고,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이 이 매개경로를 조절하여 상담자 소진을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상담자의 회복탄력성이 잘 기능하기 위해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의 향상을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의 형성과 발달에 필요한 주요요인들과 개입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후속연구 제언을 논의하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309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38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S](상담심리대학원) > HUMANITIES & SOCIAL SCIENCE(인문사회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