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 0

도심형 산업 밀집지역 도시재생사업에서 신규입주업체의 입주유형별 거래협력네트워크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도심형 산업 밀집지역 도시재생사업에서 신규입주업체의 입주유형별 거래협력네트워크 특성에 관한 연구
Author
길현기
Advisor(s)
구자훈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대상지는 세운상가 일대 도시재생사업지역 중 마중물사업이 완료된 1단계 구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서울형 도시재생사업 중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사업이 해당된다. 도심 내 지역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거점시설을 조성하고 세운메이커스 큐브를 조성하여 청년 스타트업을 유입을 유도한 산업재생, 종묘에서부터 남산까지 보행데크로 연결하는 보행재생, 지속가능하고 주민 주도의 재생사업을 위한 공동체 재생사업으로 추진되었다. 특히 거점시설을 조성하여 많은 외부 입주업체를 입주시켰으며, 산업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지역 장인과 젊은 청년 스타트업과의 협업을 유도하여 지역산업을 활성화 시킨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재생사업 이후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새롭게 입주한 업체의 입주 특성을 파악하고 재생 사업 및 거점시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도심형 산업 밀집 지역으로 신규입주업체들의 거래관계 및 세운상가 일대의 거래협력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지역업체들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신규입주업체를 입주유형을 공모형 신규입주업체와 자생형 신규입주업체로 구분하였다. 공모형 신규입주업체는 공공에서 재생사업활성화를 위하여 시 소유공간인 세운메이커스 큐브에 공모를 통해 모집한 업체와 협약을 통해 입주시킨 전략기관, 그리고 거점시설 운영 및 활성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중간 지원 조직으로 정의하였으며, 자생형 신규입주업체는 재생사업 시작 이후 공공의 지원 없이 민간 공간에 스스로 입주한 업체를 말한다. 분석 결과 첫째, 신규입주업체의 입주유형별 업종 및 특성으로 전체적으로 신규입주업체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공모형 신규입주업체는 제조서비스업체와 디자인업체가 많이 입주해 있는 반면 자생형 신규입주업체는 문화예술, 도소매업체가 많이 입주해 있으며 입주유형에 따라 시기별로 업종 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둘째 거점시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PLS-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모형 신규입주업체의 만족도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창업 공간, 상권 및 상업 활성화, 음(-)의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교통 접근성과, 공동체 활성화로 확인되었다. 자생형 신규입주업체는 만족도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창업 공간, 지역 이미지 개선, 음(-)의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거점시설 입지, 문화전시 및 교육 공간으로 입주유형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신규입주업체의 유형별 거래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크게 업무거래관계와 친목도모관계를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공모형 신규입주업체는 단순 거래, 용역을 받는 거래, 신규입주업체 간 정보교류, 친목 도모관계를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생형 신규입주업체는 업무거래관계는 많은 반면 신규입주업체 간 정보교류 및 친목 도모관계와 같은 친목 관계는 적을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거래관계는 산업 활동의 기초가 되고 친목 도모관계는 산업혁신의 바탕이 되므로 공모형 신규입주업체가 도심형 산업집적지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신규입주업체의 유형별 거래협력네트워크를 세운상가 일대로 살펴보면 거래관계에서 살펴보았듯이 공모형 신규입주업체가 자생형 신규입주업체에 비해 세운상가 일대와 많은 거래협력네트워크가 형성됨을 알 수 있어 도새재생사업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라고 할 수 있겠다. 주요 시사점으로는 첫째, 산업재생을 통해 재생사업을 추진할 경우에는 업종변화 및 주변 지역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입주유형, 업종, 등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지속적인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입주유형별로 거래관계 및 거래협력네트워크에 차이가 있으며, 활성화 프로그램 참여 등으로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어 공모형 신규입주업체에 국한하지 말고 자생형 신규입주업체도 도시재생사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추진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거점시설에 대하여 업종 및 운영방식에 대하여 고정시키지 말고 거래관계 및 거래협력네트워크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산업과 연계 가능한 업종에 대하여 입주 시킬 필요가 있겠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601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0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