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 0

한·중 창작무용 작품에 담긴 의경(意境)표현 연구

Title
한·중 창작무용 작품에 담긴 의경(意境)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indscape of Dance Works in Korea and China -Focused on and -
Author
천팅
Alternative Author(s)
CHEN TING
Advisor(s)
손관중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창작무용은 영혼과 몸을 통해 감정·사상을 표현하는 예술로 문화성과 민족성이 강하다. 그러나 현대화 과정에서 더 많은 관객에게 받아들여지고 이해되기 위해서는 창작무용이 문화적 불균형을 해소해야 한다. 전통문화가 예술에 주는 자양분을 간과해서는 안 되며, 앞서가는 문화와 동떨어져서는 안 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자국 문화의 특성을 구현하면서 세계문화와의 격차를 줄여야 한다. 무용은 추상성이 강하기 때문에 무용에 대한 해석과 분석은 학술계의 난제였다. 무용은 오랫동안 서양 언어학, 인류학, 기호학 등의 관점에서 무용을 분석하고 해석하려고 시도하여 풍부한 연구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동양문화가 내면의 감정적 체험과 의경을 강조하는 특성이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동양 예술에서도 작품의 추상적이고 은유적인 해석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다. 이는 동양문화를 바탕으로 한 의경론(意境论)에서 이미 주목받은 바 있다. 의경(意境)은 동양 미학자들이 추구하는 최고의 미적 이상(最高的审美理想)으로서 당나라 때부터 시(诗) 예술에 등장해 왔다. 근대 이후, 의경은 동양 예술 비평에서 중요한 관점이 되었다. 그중 종백화(宗白华)는 예술 발전을 중시하는 학자로서 근대 철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그의 예술의경론(艺术意境论)은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문학, 회화 및 영화 등 예술을 포함하여 동양 문예 비평 이론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무용 예술을 중시하는 미학가로서, 종백화는 무가 동양 예술의 세 가지 미적 특징 중 하나라고 여긴다. 무용 분야에서 그 이론을 응용하면 무용 연구에 새로운 시각과 방법론을 제공하여 무용작품에 표현되는 감정, 의경 및 사상적 함의를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다. 특히 무용의 의경에 관한 연구에서 종백화의 이론은 무용학자들에게 깊은 사고와 계시를 제공하여 무용작품의 의미를 더 잘 이해하고 무용 예술에 대한 감상 수준과 창작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의경에 대한 정의와 역사를 설명하기 위해 역사적인 정리를 수행하였으며, 종백화의 예술의경론 관점에서 무용작품의 의경에 관한 연구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또한, 문학, 회화, 영화 분야의 작품 의경 분석방법을 참고하고 무용 예술 자체의 특성을 결합하여 합리적인 무용 의경 분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 국립무용단의 창작작품 <묵향>과 중국 베이징무용대학 청년무용단의 창작작품 <천추수색>의 분석을 예로 들어 이 분석 모형의 합리성을 검증하고 향후 연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된다. 첫째, 본 연구는 종백화의 예술의경론과 문학, 회화, 영화의 세 가지 예술 중 분석 사례를 종합하여 무용 예술을 위한 의경표현 분석모형을 구축했다. 이 모형은 주로 배경 설명, 작품 요소 분석, 그리고 작품 의경표현 분석의 세 가지 측면을 구축되었다. 둘째, 본 연구는 의경론을 한국과 중국의 무용작품분석에 적용하였으며, <묵향>과 <천추수색> 두 창작작품을 사례로 분석하여 위에서 제안한 모형의 합리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작품의 의경 특성을 통해 작품 자체의 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해석하고, 이 두 작품 간의 심미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요약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예술 비평 분야에서 의경의 응용범위를 확장하는 동시에 무용 예술에서 의경 연구의 의의를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창작무용 작품의 의경표현 분석을 통해 자국 문화적 특성을 주로 유지하면서 세계 문화 발전 과정을 고려하는 것이 창작무용의 질을 향상시키고 문화적 다양성을 보호하며 사회적 인식과 인정을 촉진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문화적 특색을 유지함으로써 무용작품은 문화를 계승하고 표현하며, 민중의 문화적 정체성을 환기시키고, 문화적 인식과 예술적 경쟁력을 증대시키며, 국가문화적 자신감을 심어주고, 문화적 자강을 촉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487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92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