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 0

시청기기 차이에 따른 수용자의 미디어콘텐츠 수용에 관한 연구: 수용자의 인지, 정서 반응과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Title
시청기기 차이에 따른 수용자의 미디어콘텐츠 수용에 관한 연구: 수용자의 인지, 정서 반응과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Effect of Display Type on Viewer's Attention, Arousal, and Recognition
Author
박성복
Keywords
미디어 효과; 심박률; 피부전도반응; 주목; 각성; 기억; 인식; 신호탐지; attention; arousal; recognition; heart rate; skin conductance; signal detection
Issue Date
2012-01
Publisher
한국방송학회
Citation
한국방송학보, v. 26, NO. 1, Page. 82-125
Abstract
본격적인 뉴미디어 시대를 맞아 시청자들의 시청행태가 다중화, 개인화, 연속시청으로 변화함에 따라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미디어 시청기기인 HDTV, 아날로그 TV,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에서의 시청 시 인지, 정서적인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생리반응인 심박률, 피부전도반응과 함께 자기진술답변을 통해 인지, 정서 반응을 알아보고, 신호탐지이론을 통해 기억과 인식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시청기기는 인지 반응인 주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정서반응인 각성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시청기기 중 노트북 컴퓨터의 각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더 많은 정보처리를 요하는 뉴스와 비뉴스 간에 차이가 있었다. 기억과 인식에 있어서는 HDTV에서 시청 시 시각정보의 기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날로그 TV는 가장 낮게 나타나 화면크기가 시각정보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노트북 컴퓨터와 스마트폰처럼 일정 수준 이하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청각정보 인식에 있어서는 시청기기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시청기기에 따라 시청자의 수용과 반응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그 차이는 미디어 기기 자체의 특성뿐만 아니라 시청자의 이용행태, 개인화와 같은 다양한 요인들로 인한 것으로 향후 세부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As the advance of the media technology has dramatically been changing the whole environment of media and the viewing pattern of peopl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nd how media devices affect on viewer's attention, arousal and recognition with popularly used the HDTV, the analog TV, the laptop computer and the smart phone. Physiological responses of heart rate and skin conductance, self-report answers and the signal detection theory were measured for attention, arousal and recognition with 40 participant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display types does not affect on the attention but on the arousal. The laptop computer showed the highest arousing level among them. Furthermore, In the same viewing environment, the larger screen size elicited the higher visual recognition but no difference was found under a certain size level and on the aural recogni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isplay types are important factors affect on viewers’ responses, other factors, such as the position of viewing and the personalization of media devices, more likely affects on viewers’ response.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78172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211
ISSN
1229-025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