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2 0

가로 입지환경 분석을 통한 녹지계획 방향-동대문구 가로를 중심으로-

Title
가로 입지환경 분석을 통한 녹지계획 방향-동대문구 가로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Directions for Greenery Plans Considering Street Location Environment -Focused on Sidewalk of Dongdeamungu-
Author
김경숙
Keywords
Location Environment(입지환경); Urban Street(도심가로); Urban Greening(도심녹화); Street Planting(가로녹화); Street Greenery(가로녹지)
Issue Date
2014-06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0, NO. 2, Page. 33-48
Abstract
근대 농업 중심의 사회가 막을 내리고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도시민들의 의식수준은 ‘양의 삶’에서‘질의 삶’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시대의 흐름과 도시민들의 의식수준 변화의 영향으로그동안 도심의 양적 성장에 의해 생산된 인공적인 회색빛 도심경관에 대한 질적 향상의 목소리가 날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시를 비롯한 각 지자체 또한 이러한 도심가로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디자인 거리 조성사업, 공공디자인 시범사업, 간판 재정비사업과더불어 도심 가로(街路)녹지 조성사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도심 가로녹지 조성사업은 이전 사업과마찬가지로 양적 확대 측면에서만 고려되고 있을 뿐여전히 공간의 성격에 맞는 기능성이 고려되지 않고있는 실정이다. 가로 녹지의 형태 또한 가로 분위기에맞게 디자인을 고려하여 설계하라는 서울시 세부 설계내용이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조성된 가로녹지는 그 형태가 매우 정형화되어 있고, 그 모양이 매우 단순하여 생물 서식기능을 달성하는데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김도희, 2013) 또한, 이상 기후에 대비한 녹지의 기능성 역시 적극적으로 반영되지 않고 있어 또 다른 획일화된 도시경관을 창출하고 있다는 것이 새로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선형의 획일화 된 가로녹지 조성 현황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가로의 입지환경 특성에 맞는 가로녹지계획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정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가로 경관을 구성하는 입지 환경을 크게 지형, 도로, 가로수, 보도 및 건물로 나누어 녹지대 형태별로 각 요소에 맞는 분석 툴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형 요소에서는 배수가 불량하거나, 저지대인 경우, 도로 요소에서는 광로나 대로 같이 다른 도로에 비해 비교적 교통량이 많은 경우, 가로수 요소에서는 천근성 가로수가 식재된 가로가 기존 직선형 녹지대보다는 가변형 녹지대로 계획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도 및 건물 요소분석을 위해 보행자의 녹지대에 대한 시각적 선호도를 설문해본 결과, 간판이나 건물 외벽정비가 불량하여 복잡한경관을 보이는 가로인 경우는 기존 직선형 녹지대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나, 근래에 신설된 도시계획가로와 같이 간판정비나 건물 외벽정비가 비교적 양호하고 보도 폭이 넓은 가로의 경우는 직선형보다는 곡선형이나 지그재그형과 같은 가변형 녹지대에 높은 시각적선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규가로 녹지계획 시 기존과 같은 직선형의 획일적인 가로 녹지계획보다는 가로 입지환경에 따른 경관분석 과정이 선행되어야 보다 효율적인 가로 녹지계획이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끝으로 선행된 입지 환경 분석 결과를 토대로 녹지대 형태 별 체크리스트를 작성한 후, 대상지인 동대문가로 13개소에 적용한 자료를 연구 결과로 제시함으로서 앞으로 조성될 가로 녹지대의 계획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As a modern agriculture-centric society is coming to an end and the industrialization is accelerating,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urban residents is being converted to 'life of quality' from 'life of quantity'. Due to the effect of such trend and a change of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urban residents, the voices of qualitative improvement are growing louder and louder for artificial gray scenery made by the quantitative growth of downtowns. Seoul City and each local government are aggressively implementing design street construction business, public design demo business, front-rearrangement business and urban street greenery construction business to overcome problems of such urban street. However, current urban street greenery construction business has only been considered in terms of quantitative expansion like the previous business but the functionality suitable for the nature of the area is still not on a list of consideration. Although the detailed design contents instructing to design the shape of street greenery after considering the suitable design for an atmosphere of the street have been announced by Seoul City, the shape of currently constructed street greenery has been extremely standardized and simple so it is considered to be impracticable to achieve urban park functions (Do Hui, Kim, 2013). Furthermore, there has been a new issue arisen that it creates another standardize urban scenery since the functionality of green against abnormal climate has not been actively reflected in the busin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set to recognize the current state of standardized linear street greenery as a problem and to suggest a direction of street greenery plan suitable for the features of location environment of the street and, for its research method, location environment composing the street scenery was roughly divided into geographical feature, road, pavement and building and analyzed with an analysis tool suitable for each element by the shape of each green zone. As a result, there was a poor drainage for geographical feature and, for street trees, it was verified that a street planted with shallow-rooted street trees was more effective and a variable green zone is more effective than the existing linear one in case there are a lot of traffic compared to other roads such as optical path and main street. Furthermore, as a result of a survey on the visual preference of pedestrians on green zone to analyze the elements of pavement and building, they tended to prefer the existing linear green zone for a street having a complex scenery due to a poor arrangement of fronts or external walls of building but showed higher visual preference on variable green zone like in a curve or zigzag pattern than the linear one for a street with wide pavement and a comparatively fine arrangement of fronts or external walls of building like recently constructed urban planning street. Such result can be considered as a result showing that an effective street greenery plan can apply only when a scenery analysis according to the street location environment is preceded rather than the existing linear, standardized street greenery plan, when planning a new street greenery project. Lastly, it is expected that data propos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pplied to 13 streets in Dongdaemun Gate, the target area, after writing a checklist classified by shapes of green zone on the basis of a result of the preceded analysis on location environment will be utilized as an important basic document in setting a direction of street greenery project which is to be constructed henceforward.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4302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5077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