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0

복약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의약품 패키지의 정보 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복약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의약품 패키지의 정보 디자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formation Design of Medicines to Improve Compliance Rate
Author
송지성
Keywords
복약순응도; 정보디자인; 지기구조; 컬러 테라피; 아이소타입; Compliance Rate; Information Design; Origami; Color Therapy; Isotype
Issue Date
2010-12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16, NO. 4, Page. 307-320
Abstract
2008년 세계보건기구(WHO)의 통계에 따르면 선진국의 복약순응도는 전체 약을 복용하는 인구의 50%에 그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2년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고혈압약을 복용 중인 남성의 복약 순응도는 30.2%(여성 42.2%)만이 시간에 맞춰 꾸준히 약을 복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복약순응도가 떨어질 경우 사용자인 환자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며 생명에 지장을 줄 수도 있다. 이런 복약순응도가 떨어지는 가장 큰 이유는 사용자인 환자가 고령자를 비롯해 시각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이 많아 현재의 복용에 관련된 전문적인 언어와 작은 텍스트들로 이루어진 시각 정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약품 패키지의 정보 디자인에 초점을 맞춰, 의약품 패키지 정보디자인의 요소 중 복약순응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디자인 이론들을 알아보고, 현재 의약품 패키지 정보디자인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과 더불어 복약순응도가 우수한 해외의 의약품 패키지의 정보디자인 사례들의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정보디자인을 개선하고, 결과들을 토대로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적 고찰을 통해 복약순응도의 개념 정의 및 개선 가능한 요소를 알아보고, 의약품 패키지의 요소 및 조건에 맞게 복약순응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컬러테라피와 아이소타입에 관한 개념을 정리하고자 한다. 그리고 실제 국내외 의약품 패키지의 조사를 통해 현황과 문제점, 개선할 점을 비교 분석하여 복약순응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론과 실재의 요소를 종합하여 의약품 패키지의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정보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컬러를 활용하여 복용시기를 구분 하고, 컬러테라피를 활용하여 심신의 치료에 도움을 주어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었다. 둘째, 지기구조의 접지를 활용하여 복용주기와 일정을 구분하고, 복용주기의 순서에 따라 개방되는 지기구조를 활용하여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었다. 끝으로, 시각적인지력이 떨어지는 고령자를 비롯한 환자들을 위해 누구나 알 수 있는 용이한 아이소타입의 활용을 통해서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앞으로 치료적인 기능을 가진 디자인 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다.;According to WHO statistics in 2008, adaptability of taking medicine according to a doctor’s prescription is just 50% of the whole population taking medicine. According to 2002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of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n South Korea, in adaptability of taking medicine of men who took hypertension medicines, it was surveyed that only 30.2% (women: 42.2%) took the medicine steadily in time. 47% of hypertension patients stopped taking the medicine randomly within one year. If the patient’s compliance rate to fall can cause life-threatening. Compliance rate is the biggest reason for declining visual cognitive abilities of the patients are currently being used off the professional language and small text is not understood exactly.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design theories which had an effect on adaptability of taking medicine out of elements of medicines package by putting a focus on design of medicines package, to analyze status and problems of medicines package in the present, to improve information design by reflecting analysis results of overseas medicines package cases with good adaptability of taking medicine and to suggest a plan to raise adaptability of taking medicine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o be so, the study examined concept of adaptability of taking medicine and improvable elem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rranged concept of color therapy and isotype to have an effect on adaptability of taking medicine according to elements and conditions of medicines package. And the study induced elements which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adaptability of taking medicine by comparing/analyzing status, problems and improvements through survey of domestic/foreign medicines package. The study suggested information design to raise adaptability of taking medicine in medicines package by synthesizing elements of theory and reality. The results of the first, when the colors are separated by taking advantage of these medications, utilize color therapy could cure the mind and body. Second, the medication period and the schedule are classified through the use of Origami, in order to ensure openness and could increase compliance rate. Finally, a visual cognitive abilities less easy to understand for patients as possible through the use of isotype could increase compliance rate. The above results in the future will be the cornerstone of therapeutic design.
URI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6542304&googleIPSandBox=false&mark=0&useDate=&ipRange=false&accessgl=Y&language=ko_KR&hasTopBanner=true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892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