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 0

브랜드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한 화장품 브랜드 라벨의 정보시각화 디자인연구 -국내 중견사화장품브랜드를 중심으로-

Title
브랜드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한 화장품 브랜드 라벨의 정보시각화 디자인연구 -국내 중견사화장품브랜드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Information Visualization Design of Cosmetics Brand Label for Enhancing Brand Communication - Focusing on Korea’s med-sized companys Cosmetic Brand -
Author
송지성
Issue Date
2011-09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17, NO. 3, Page. 342-355
Abstract
국내 화장품 시장이 프리미엄제품과 초저가 제품으로 양분화 되면서 중견화장품이 설 자리는 점점 좁아지고 있다. 특히, 유통 채널망을 확보하지 못한 중견 화장품은 제품노출 자체가 어려워짐에 따라 소비자들의 구매율이 갈수록 낮아지는 상황이다. 프리미엄 제품은 주로 방판과 백화점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품이 판매되는 반면, 저가 화장품은 화장품 전문점 및 할인점, 인터넷 쇼핑몰, TV홈쇼핑 등을 통해 판매된다. 중견 화장품사의 경우 자체 유통망 확보가 어려워 과거 화장품 전문점과 자체 방판조직을 주로 이용하였지만 2000년대 이후 국내 화장품 시장이 프리미엄 제품과 저가 제품으로 양분화 되면서 브랜드숍 위주로 재편 되었고 중견화장품사의 판매 유통구조가 취약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이들만의 체계적이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대기업의 브랜드와 차별화 된 독자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중견기업은 대기업에 뒤지지 않는 우수한 R&D기술로 성능 면에서 뛰어나지만 이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전달 시스템은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화장품의 정보전달 표기의 방법을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화장품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국내 중견기업화장품을 대상으로하여 기초화장품 용기에 적용된 라벨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화장품은 각 브랜드의 프리미엄화장품 브랜드를 대상으로 사례조사 및 제안 범위를 선정하였다.연구 방법으로 이론적 배경은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사례조사를 통해서 정보디자인이 라벨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먼저 브랜드커뮤니케이션과 정보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조사로 시작하여 화장품 라벨의 중요성과 정보 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를 하였고 해외 프리미엄 화장품브랜드와 국내 프리미엄 화장품 브랜드의 라벨을 통한 사례조사를 통해 소망화장품의 라벨 형태와 비교분석하여 나아갈 점을 제시하였다. 현재 국내 화장품의 정보표기의 문제점은 화장품 정보의 우선순위가 체계화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소비자가 화장품 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했던 성분표기, 제조일자, 유통기한의 중요도를 한눈에 알지 못해 식별성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매우 함축적이거나 혹은 정보량이 너무 많아 통일성이 없고 제품설명의 불필요한 부분을 줄일 필요가 있다. 가장 큰 문제점은 영어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제품설명 뿐만 아니라 제품명, 성분 표기를 영문으로 하여 정확한 정보전달이 어렵다는 점이다. 위와 같이 화장품 정보표기를 개선하기 위해 화장품 정보 표기 시 고려해야 할 정보의 정확성, 기능성, 시각화의 표준화, 정보의 위계성, 언어, 디자인의 심미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치표현과 타이포그래피, 언어사용, 레이아웃의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고 수치표기를 통한 방안으로 버키벨서의 영양성분 레이블을 활용하여 참고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중견기업의 회사 및 제품의 네임, 브랜드이미지 상승과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브랜드네이밍에 대한 강조가 필요하고 효능 및 성분을 우선순위로 고려하여 표기한다. 이러한 방안을 통해 소비자가 화장품의 필수 정보를 쉽고 빠르게 습득할 수 있고 제품은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줌으로써 상호 원활한 브랜드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브랜드숍 및 프리미엄 화장품의 독점적인 시장에서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중견기업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Korean cosmetics market has divided into premium products and low cost products and the room for medium-level products is becoming narrower. In particular, as the medium-level products which have not secured the logistics channel have difficulties exposing their products, the rate of purchase for such products by the consumers is decreasing. While premium products are sold to the consumers by door-to-door sales or department stores, the low cost cosmetics are sold in cosmetics stores or outlets, internet shopping malls or TV home shopping networks. In case of the medium-level cosmetics companies, they have trouble securing their own logistics network and relied on the cosmetics shops or door-to-door sales in the past. However since 2000, Korean cosmetics market has been divided into premium and low cost products and the market has been restructured, focusing on the brand shops. As a result, the sales logistics structure has become considerably poor for the medium-levelcosmetics. Therefore, their own systemized brand communication strategies would need to be further studied and the independent system which is distinct from the brands is required. Med-sized companies produce products which are excellent in performance with R&D technology is on par with that of large companies but the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that could be delivered to the consumers accurately and effectively is lacking. Therefore, with the written information delivery of the cosmetics, the information must be communicated with accuracy and speed to the consumers for their understanding. The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Korea’s med-sized company, centering on the labels applied to the containers of base cosmetics. The cosmetics are selected based on the case analysis and scope for the proposals of the premium brands of each brand. As for the research methods,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research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based on the case studies, the ways the information design is being applied to the label was analyzed. First, starting wit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into the brand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design, the importance of the cosmetics label and information design were examined. Furthermore, based on the case studies on the foreign premium cosmetics brand and Korean premium brand labels, the forms of labels on Somang Cosmetic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nd the future directions for it were proposed. The issue of the information representation on the Korean cosmetics is that the priority for the information on cosmetics is not systemized. As a result, the consumers have a difficulty with discriminability because they could not recognize the ingredients, manufacturing date and the importance of the expiration date at once, the details they considered important when purchasing the cosmetics. Also, the information tended to be very implicit or the information stated was too much with inconsistency, and unnecessary parts of the product information must be reduced. The biggest issue was that it was difficult to convey accurate information because the production information, the product name and ingredient were in written in English due to the indiscriminate use of the language. To improve the information representation on the cosmetics, the accuracy, performance of the information, the standardization in visualization, hierarchy of information and aesthetics of design which must be considered for stating them were proposed. Also the numerical information, typography, use of the language and visual elements of the layout were used and as for the method for numerical information, Burkey Belser ingredient labels were used for propos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Somang Cosmetics was a med-sized company and to enhance the brand image and popularity, the brand naming must be stressed and the priority must be considered for stating the performance and ingredients in the label. With such methods, the consumers can easily lea...
URI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6542462&googleIPSandBox=false&mark=0&useDate=&ipRange=false&accessgl=Y&language=ko_KR&hasTopBanner=true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887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