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 0

古地圖 서울 四大門 안 지역 異體字의 유형ㆍ특색과 가치 - 奎章閣 고지도 지명 검색의 오류를 겸하여 논함 -

Title
古地圖 서울 四大門 안 지역 異體字의 유형ㆍ특색과 가치 - 奎章閣 고지도 지명 검색의 오류를 겸하여 논함 -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yp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Value of the Variant Forms in the Old Downtown Seoul Maps - with Trivial Discussion on the Errors of the Kyujanggak Browsing Service
Author
이경원
Keywords
서울 고지도; 이체자; 이체자의 진화; 규장각 지명 표기 오류; old Seoul maps; variant forms; evolution of variant forms; errors in Kyujanggak browsing system
Issue Date
2019-06
Publisher
비교문화연구소
Citation
비교문화연구, v. 55, Page. 83-107
Abstract
본 논문은 서울 고지도에 나타난 한자 이체자 자형의 유형을 귀납정리하고, 더불어 그 특색과 가치를 살펴보고, 최종적으로 규장각 원문보기의 지명검색의 오류를 교감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서울 고지도 9종에 나타난 이체자의 유형을 크게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①필획을 소폭으로 증감한 것, ②자형의 일부를 간략화 한 것, ③자형의 일부를 부호화 한 것, ④자형의 반쪽을 부호화 한 것, ⑤성부를 동음의 글자로 교체한 것, ⑥자형의 윤곽만 채택한 것, ⑦형성자를 후기 회의자로 바꾼 것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서울 고지도 이체자의 특색은 ①기존 이체자의 계승, ②이체자의 발전, ③이체자의 진화 등이 있다. 가치로는 ‘이체자 생성의 새로운 루트의 존재’를 제공해 주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현재 규장각에서 제공하는 고지도 『靑邱要覽』의 원문보기의 「지명검색」의 오류를 발견하였다. ‘魚物广(廛)’을 ‘魚物廣’으로 오인하여 ‘어물광’으로 오기, ‘米广(廛)’을 ‘미엄’으로 오기, ‘蚕(蠶)頭’를 ‘천두’로 오기, 관공서 ‘∼寺’를 ‘∼사’로 오기, ‘廣智門’을 ‘문지경’으로 오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특기할 사항은 『靑邱要覽』에서 ‘廛’의 이체자로 ‘广’을 사용하였는데, 중국 역대의 이체자형에 발견되지 않은 매우 독특한 활용 방안이다. 이는 우리나라 이체자의 혁신적인 활용방안이 적용된 진화된 이체자형으로 간주된다.;This paper focuses on collecting and examining (types of) variant forms of Chinese characters written in nine old Korean maps, and correcting problems in using the “searching for original material” service at the website of Kyujanggak. Types of variant forms in the maps are classified as follow: i) Adding or subtracting a few strokes, ii) Simplifying the part of the characters, iii) Coding the parts of the characters, iv) Coding the half of the characters, v) Replacing the original character with another character with the same sound, vi) Adopting only the outlines of the characters, and vii) Replacing phonetic-semantic compounds (形聲) with the late combined ideograms (會意). Features of various types of variant forms are summarized as below: i) Succession of the existing variant forms, ii) Development of the variant forms, and iii) Evolution of the variant forms. In addition, I also find out the existence of new routes of the genesis of new variant forms. I also discovered errors in “searching place names” for the Map Book of Korea (靑邱要覽) provided by the website of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For example, the searching service renders “魚物广” and “米广” of the original map as “魚物廣”, “米廣”, respectively, where 广 in the Map Book of Korea is, in fact, the variant form of 廛. Furthermore, “蚕(蠶)頭” is rendered as “천두”, “관공서(寺)” as “~사”, “廣智門” as ‘문지경’ and so on. Last but not least, this variant form (广) is assumed to be the highly rare variant form that is not found in variant forms used in Chinese literature. It can be considered as an evolutional variant form that the innovational way to render the variant forms of Korea is applied.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8091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568
ISSN
1598-0685;2671-9088
DOI
10.21049/ccs.2019.55..8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CHINESE STUDIES(중국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