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7 0

주거지 상업화 지역에서 블록 내부로의 상업 기능 확산에 대한 연구

Title
주거지 상업화 지역에서 블록 내부로의 상업 기능 확산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read of Commercial Function from Commercialized Residential Area into Inner Block
Author
백희은
Alternative Author(s)
Baek, Heeeun
Advisor(s)
박진아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도시의 상업 기능은 도시민들에게 상품과 편의를 제공하며, 도시가 원활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이광국·조승구, 2007). 이러한 상업 공간은 소비자들의 취향과 소비패턴, 선호 등에 발맞추어 새롭게 주목받거나 변화하고, 그 흐름을 따라가지 못해 쇠퇴하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주거지역의 독특한 가로 경관 및 장소성을 가지는 상업 공간이 주목받고 있다. 사회, 문화, 경제의 발전에 따른 소비 행태의 변화로써 주목받게 된 휴먼스케일의 상업가로는 기술 및 SNS 발전과 함께 상업화의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다. 그동안 주거지역에 위치한 상업가로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대부분 활성화 시기에 대한 특성 분석에 한정되어 있고, 이후 상업가로의 성격 변화와 함께 내부 블록으로 어떻게 확산되었는지를 살펴본 연구는 드물다. 주택의 상업화는 구조변경으로 인한 불가역성이 있어 한 번 바뀌면 되돌리기 힘들고, 용도의 전환은 근본적으로 공간 활용의 주체를 변화시키는 과정임을 고려했을 때 주거지역 상업가로 이면의 내부 블록으로 확산되는 상업 활동과 이들의 시공간적 밀집은 도시 공간 전반에 변화를 가지고 올 것이 예상된다. 이러한 점에서 주거지역에 위치한 상업가로의 상업 특성 변화와 내부 주거 블록으로의 상업 확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9년의 전체 20년을 시간적 범위로, 주거지 상업화가 발생한 상업가로 세 곳을 공간적 범위로 하여 블록 내부로의 상업 확산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졌다. 첫째, 상점 입지 이론 및 주거지 상업화 지역의 형성 과정 및 관련 선행연구들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주거지 상업화 지역을 이해하고, 이를 분석의 틀에 적용하였다. 둘째, 구축한 상업 특성 변수를 바탕으로 상업가로의 상업화 단계를 도출하였으며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상업 특성을 해석하였다. 셋째, 상점 개·폐업 데이터를 시공간검색통계량에 투입하여 상업 확산 구역을 도출해낸다. 확산 구역에 대한 1차적인 해석을 진행한 다음, 마지막으로 상업가로와 상업 확산 구역을 비교하는 과정을 거친다. 해당 분석을 통해 주거지 상업화 지역에서는 상업 활동이 어떻게 확산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지 상업화 지역에 위치한 상업가로를 세 가지 상업 특성인 상업 활력도, 프랜차이즈율, 식음료업 비율로 군집분석을 시행한 결과 3단계로 나뉨을 확인하였다. 둘째, 시공간검색통계량을 기반으로 도출된 상업 확산 구역은 대부분 상업가로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었으며 세 대상지의 확산 구역 모두 식음료업이 가장 높은 업종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외부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는 상점이 다수 밀집하여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이러한 확산 구역은 대상지의 성격에 따라 시공간 범위가 다양하게 나타났지만 공통적으로 상업가로의 2→3단계 전환 시점에서 발견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주거지 상업화 지역에서의 상업 확산 공간 도출 방법론으로 시공간검색통계량기법의 사용 가능성을 밝혔다. 또한 내부 블록으로의 상업 확산 구역이 상업가로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확인하여 이들 공간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상업 특성을 도출하였다. 확산 구역은 상업가로의 2단계 활성화 시기와 그 특성과 유사한데, 이 특성이 내부 주거지역의 상업화가 시작되는 초기 시점에 발견되었다는 것은 해당 구역 내 상업화가 매우 빠르게 공간 사용의 주체를 변화시키고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본 연구는 상업 확산을 가정하였을 때 어떤 관점에서 확산을 정의하고, 어떤 공간을 우선적으로 살펴봐야 하는지 그 범위를 도출해냈다는 점에서 연구의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384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95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