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3 0

공복 혈장 포도당 궤적과 제 2형 당뇨병 발병률의 연관성 : 지역 사회 기반 코호트 연구

Title
공복 혈장 포도당 궤적과 제 2형 당뇨병 발병률의 연관성 : 지역 사회 기반 코호트 연구
Other Titles
Associations of fasting plasma glucose trajectories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 a community-based cohort study
Author
박경민
Advisor(s)
박훈기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유병율이 증가하는 만성질환 중 하나이며, 사회적 부담이 커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의 일반적인 진료 환경이나 건강검진에서는 공복혈당검사에서 공복혈당장애(impaired fasting glucose, IFG)가 보이는 경우 당뇨병의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공복혈당검사에서 혈당의 상승이 있는 경우, 이전의 공복혈당검사 결과가 이어지는 장기적인 궤적을 보고 몇 년에 걸쳐 몇 번이나 추적할 때 당뇨병의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공복혈당 변화의 장기적인 궤적에 따른 당뇨병 발생의 예측에 대한 가치를 확인하였다. 한국인 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에 참여한 575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6년 동안의 노출 기간동안 당뇨병이 관찰되지 않은 성인들의 공복혈당 변화의 장기적인 패턴을 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기법을 사용하여 정상 혈당 궤적 그룹, 당뇨병 위험 혈당 궤적 그룹의 2 그룹으로 나눈 뒤 10년 동안의 당뇨병 발생 관찰 기간 동안 각 그룹 간의 당뇨병 발생률의 차이를 Cox proportional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또한, 정상 혈당 궤적 그룹, 당뇨병 위험 혈당 궤적 그룹이 당뇨병 발생 관찰 기간 때 어떤 패턴을 보이는지 Latent class mixed modeling 기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정상 혈당 궤적 그룹, 당뇨병 위험 혈당 궤적 그룹을 공복혈당장애, 체질량지수, 내당능장애에 따라 소그룹을 나누고 각 소그룹 간의 당뇨병 발생률을 측정하였다. 평균 7.8년의 당뇨병 발생 관찰 기간 동안, 985명의 당뇨병 발생이 있었다. 5343명의 정상 혈당 궤적 그룹에서 797명의 당뇨병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409명의 당뇨병 위험 혈당 궤적 그룹에서는 189명의 당뇨병 환자가 발생하였다. Cox proportional regression analysis로 확인한 정상 혈당 궤적 그룹 대비 당뇨병 위험 혈당 궤적 그룹의 위험도는 4.09였으며 대사성 지표, 사회성 지표를 고려하여 보정한 결과도 각각 위험도 3.55, 3.53이었고, 대사성 지표, 사회성 지표, 내당능장애의 횟수, 공복혈당장애의 횟수를 모두 고려하여 보정한 결과도 위험도 1.55로 당뇨병 위험 혈당 궤적 그룹이 정상 혈당 궤적 그룹보다 당뇨병 위험도가 높았다. 소그룹 분석에서는 각각의 혈당 궤적 그룹 내에서는 공복혈당장애의 횟수가 많은 소그룹이, 당화혈색소가 높은 소그룹이, 체질량지수도 높은 소그룹이 더 당뇨병 발생률이 높았지만, 같은 공복혈당장애 횟수, 같은 당화혈색소 그룹, 같은 체질량지수 그룹 기준에서는 정상 혈당 궤적 그룹보다 당뇨병 위험 혈당 궤적 그룹이 더 높은 당뇨병 발생률을 보였다. 당뇨병 위험 혈당 궤적 그룹이 정상 혈당 궤적 그룹보다 당뇨병 발생의 위험이 증가하였다. 다른 당뇨병의 위험과 관련된 변수들을 고려해 보아도 마찬가지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당뇨병이 없는 일반 사람의 공복혈당의 변화를 측정하여 높은 공복혈당이 유지될 경우 당뇨병의 가능성이 높음을 미리 알 수 있고, 이는 당뇨병의 조기 발견을 예측하는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154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78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