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우경-
dc.contributor.author반관운-
dc.date.accessioned2022-09-27T16:13:30Z-
dc.date.available2022-09-27T16:13:30Z-
dc.date.issued2022. 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6996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637-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주제는 슈트라우스 예술가곡의 발전 경향 및 시기별 특징에 관한 비교연구로, 슈트라우스의 가곡 중에서 시기별 작품 경향이 명확히 제시된 《마지막 잎새》(Acht Lieder aus Letzte Blätter, Op. 10) 중 제3곡 ‘밤’(Die Nacht), 제8곡 ‘위령제’(Allerseelen), 《네 개의 노래》(Vier Lieder, Op. 27) 중 제2곡 ‘체칠리에’(Cäcilie), 제4곡 ‘내일’(Morgen), 《다섯 개의 노래》(Fünf Lieder, Op. 48) 중 제2곡 ‘나는 날아오르고’(Ich Schwebe), 제4곡 ‘겨울의 축제’(Winterweihe), 그리고 《네 개의 마지막 노래》(Vier Letzte Lieder) 중 제3곡 ‘잠자리에 들 때’(Beim Schlafengehen), 제4곡 ‘저녁노을’(Im Abendrot)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슈트라우스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논하고, 이들 가곡에 내재한 작곡가의 음악어법과 시대별 가곡의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슈트라우스에게 독자적인 작곡기법을 구축하기까지 영향을 준 19세기 독일예술가곡의 발전사와 대표 작곡가의 작품 경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후 슈트라우스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제1기(1864-1885) ‘유년기 및 청소년기’, 제2기(1885-1898) ‘청년기’, 제3기(1898-1918) ‘장년기’, 제4기(1919-1949) ‘노년기’로 구분하여 그의 생애주기와 작품의 유기적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각 시기를 대표하는 가곡을 깊이 있게 분석하였고, 작품 분석을 통해 슈트라우스의 시기별 가곡 특징을 ‘선율적’, ‘조성 및 화성적’, ‘반주부 표현기법’ 측면으로 비교·연구하여 그의 생애에 따른 가곡 양식의 변천 과정을 탐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슈트라우스의 가곡을 연주하는 성악가들의 폭넓은 이해와 연주의 효용성을 돕는 문헌적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R. Strauss 예술가곡의 발전 경향 및 시기별 특징에 관한 비교연구-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trends and periodic characteristics of R. Strauss's art song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반관운-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Fan GuanYu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음악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