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8 0

자동차산업 기술직종 사주명조의 직업 적성 분석 연구

Title
자동차산업 기술직종 사주명조의 직업 적성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Occupational Eligibility Analysis of the Technical Worker’s Saju-myeongjo in the Automobile Industry
Author
최승희
Alternative Author(s)
CHOI, SUNGHEE
Advisor(s)
박정해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Myeongrihak is a science that predicts the future, and it could influence the occupational life of human beings through systematic and logical analysis. Myeongrihak is able to help prevent losses from frequent turnover by inducing occupational life by considering occupational eligibility. For this reason,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research on what kind of usefulness Myeongrihak could provide focusing on technical workers of the automobile industry, which is the key industry in Korea. This study has a purpose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Saju-myeongjo of the technical workers and verify their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occupational eligibility statistically.   For the objective, this study selected technical workers of a K company that is a car maker in Hwaseong, Gyeonggi province as research subjects. In order to collect data to b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it extracted a sample group through a random sampling method and it surveyed the group. At the initial survey, it distributed 400 copies and retrieved 332 copies. Finally, it reflected 309 copies for statistical analysis except for 23 questionnaires that omitted answers and included insincere responses.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by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on occupational theory of Myeongrihak, Saju with BiGup in CheonGan appears a lot in craftsmen and technicians that require strong labor and physical strength. In addition, it is said that when categorizing types based on GyeokGuk, PyeonGwanGyeok shows appropriate aptitude which is suitable for engineering performance, and GupJaeGyeok has appropriate aptitude technician. Depending on it, this study had results by analyzing whether there is BiGup or not and types of GyeokGuk.   Among the research subjects, there are relatively more Saju without BiGyeon and GupJae than with BiGyeon and GupJae. In the classification of GyeokGuk types, there are relatively many PyeonGwanGyeok and GupJaeGyeok.   Depending on whether there are BiGup and GyeokGuk types, this study verified if there is mean difference in occupational aptitude measurement variables (major aptitude agreement, vocation aptitude agreement, job aptitude agreement), and its result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an difference of vocational aptitude measurement variables depending on GyeokGuk types by using one-way ANOVA, averages of major aptitude agreement and job aptitude agreemen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As a result of post analysis, the average of GupJaeGyeok appears to be relatively high. However, in the case of PyeonGwanGyeok, the average of vocation aptitude agreement is not relatively higher than the other types. Based on these results, GupJaeGueok shows a tendency to consider technicians in the automobile industry as suitable aptitude, but PyeonGwanGyeok does not show this tendency.   Based on this analysis results and interpretation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on the vocation aptitude of automobile industry technicians.   First, BiGup in CheonGan of Saju-myeongjo could not have statistical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the automobile industry technical occupation.   Second, among the GyeokGuk types by Saju-myeongjo, GupJaeGyeok and PyeonGwanGeok show a tendency to choose the technical occupation of the  automobile industry as the preferred occupation.   Third, among the GyeokGuk types, workers, who are classified in GupJaeGueok and engaged in automobile industry technical occupation, are much more likely to meet the level that their aptitude matches their major, vocation, and job rather than the other types.   Fourth, among the GyeokGuk types, workers, who are classified in PyeonGwanGyeok and engaged in automobile industry technical occupation, are not likely to meet the level that their aptitude matches their major, vocation, and job.   Based on occupational theory of Myeongrihak, focusing on automobile industry technical occupation, this study derived some significant results by statistically verifying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Saju-myeongjo and vocational aptitude. Henceforth,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duct research on vocational aptitude by using Myeongrihak not only for the automobile industry technical occupation but for various occupational categories.  |명리학은 미래를 예측하는 학문으로서 체계적․논리적 분석을 통해 인간의 직업생활에도 영향을 미친다. 명리학은 직업 적성을 고려한 직업생활 영위를 유도해 잦은 이직으로부터 발생하는 손실을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간산업인 자동차산업에 종사하는 기술직종 근로자를 대상으로 명리학이 직업 적성에 어떤 유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지 실증연구를 수행한다. 본 연구는 기술직종 근로자의 사주명조 특성을 파악하고, 그 특성과 직업 적성 관련 변인 간 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경기도 화성시에 소재한 완성차업체인 K사의 기술직종 근로자를 대상으로 선정한다. 통계 분석에 활용할 자료 수집을 위해 임의표본추출법에 의해 표본집단을 추출해 설문지법에 의해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최초 설문조사 시 400부를 배포해 332부가 회수해 이 중 응답 누락, 불성실한 응답이 있는 설문지 23부를 제외하고 최종 309부를 통계 분석에 반영한다. 본 연구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실증연구를 수행한다. 명리학의 직업론 분야의 연구 성과에 의하면, 천간에 비겁이 있는 사주는 강한 노동력과 체력을 요구하는 기능공과 기술직에서 많이 나타난다. 또한 격국에 의한 유형 분류 시 편관격이 공학적 직무 수행에 적합한 적성을 갖고 있고, 겁재격이 기능공에 적합한 적성을 갖고 있다고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가 천간의 비겁 유무와 격국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 중에 천간에 비견․겁재가 있는 사주보다 비견․겁재가 없는 사주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분포하고 있다. 격국 유형 분류에서는 편관격과 겁재격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비겁 유무 및 격국 유형에 따라 직업 적성 측정 변인(전공적성일치도, 직업적성일치도, 직무적성일치도)의 평균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격국 유형에 따른 직업 적성 측정 변인의 평균 차이를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전공적성일치도와 직무적성일치도의 평균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상한 대로 겁재격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편관격은 직업 적성 측정 변인의 평균이 다른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지는 않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겁재격은 자동차산업 기술직종이 적성에 맞다고 여기는 경향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편관격은 이러한 경향성을 나타내고 있지 않다. 이상의 분석 결과 및 해석 내용에 기초해 자동차산업 기술직종의 직업 적성에 관한 연구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주명조의 천간에 비겁의 유무는 자동차산업 기술직종을 선호 직업으로 선택하는데 있어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둘째, 사주명조에 의한 격국의 유형 중 겁재격과 편관격은 자동차산업 기술직종을 선호 직업으로 선택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셋째, 격국 유형 중 겁재격에 해당하는 근로자는 자동차산업 기술직종에 종사하면서 전공, 직업, 직무가 적성과 일치하는 수준이 다른 유형에 비해 매우 높다. 넷째, 격국 유형 중 편관격에 해당하는 근로자는 자동차산업 기술직종에 종사하면서 전공, 직업, 직무가 적성과 일치하는 수준이 높지 않다. 본 연구는 명리학의 직업론에 기초해 자동차산업 기술직종을 대상으로 사주명조의 특성과 직업 적성 측정 변인 간 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의미 있는 몇 가지 결과를 도출해 냈다. 앞으로 자동차산업 기술직종뿐만 아니라 다양한 직종을 대상으로 명리학을 활용한 직업 적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641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3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CONVERGENCE[E](융합산업대학원) > DEPARTMENT OF ORIENTAL CULTURE(동양문화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