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8 0

중국 명나라 한푸(汉服)와 고딕 패션의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Title
중국 명나라 한푸(汉服)와 고딕 패션의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Other Titles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Ming Dynasty Hanfu and Gothic Fashion
Author
허우미
Alternative Author(s)
HE YUWEI
Advisor(s)
이연희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중국 한족의 민족 전통복식인 한푸(汉服)는 한민족의 복식을 통칭하는 말로 한족을 대표하는 복식의 명칭이기도 하다. 한족의 문화 발전과정에서 역사적인 여러가지 이유로 문화적 단절이 생기고 '당장'과 '치파오', 소수민족의 복식의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지만, 한푸는 중국의 중요한 복식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전통 복식인 명나라 한푸(汉服)의 특성과 서양의 고딕 패션 스타일의 특징을 융합한 한푸를 더 새롭게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패션 디자인을 전개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문헌과 선행연구 조사를 통하여 중국의 전통 복식인 명나라 한푸의 특성과 고딕 패션스타일을 조사하였다. 명나라 한푸(汉服)의 디자인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푸는 A, X, H, T자형으로 구분해 ‘상의하상’과 ‘교령우임’ 이 가장 큰 특징이다. 명나라 여성의 복식은 주로 '유군(儒裙)'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명나라 귀족의 여성복은 예복과 상복으로 나뉘고 옷 장식으로는 하피(霞披)를 많이 사용하였다. 배자(褙子), 비갑(比甲) 등의 복식을 사용하여 복장의 다양성을 증가시켰다. 명나라 남성들은 도포(道和)와 직신(直身)을 많이 입었고, 모자와 두건(頭巾)을 많이 착용하였다. 명나라 시대에도 단추는 유행하는 디테일이었다. 명나라 복식의 색채는 ‘오행론’의 영향을 받아 전대(前代)의 복장의 색채가 어우러져 붉은색을 숭상한다. 명나라 초기에는 귀족들에게만 사용되던 붉은색이 중후반에는 지배계급의 힘이 약해지면서 민간에서도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다음으로 고딕패션을 조사하였으며, 선행 연구의 내용에 따르면 고딕 패션의 특성으로 뱀파이어리즘, 메멘토모리, 성적 페티시, 신비성, 암흑성, 공포성, 성의 모호성 등의 특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명나라 한푸의 다양한 령의 구조와 기본 구조인 상의하상 제도, 심의제도, 유군제도에 의해서 나온 대표적인 심의, 배자, 유군, 오군, 반비, 비갑 등 아이템을 선별해서 고딕패션의 메멘토모리(Menento Mori), 페티시(Fetish), 신비성, 암흑성, 공포성, 성의 모호성 등의 특성과 결합하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명나라 한푸와 고딕 패션의 공유적인 색채인 붉은색과 검정색을 주조색으로 사용하였으며 ‘A’ 형, ‘I’ 형 실루엣의 디자인으로 전개하였다. 이러한 실루엣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재는 TECHNO-SCUBA(space cotton), GORE-TEX, CottonGabardine 같은 탄력성 있는 합성섬유를 사용하였다. 작품의 테마는 '적과 흑(Le Rouge et le Noir)'이며, CLO 3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10벌의 여성복 패션 디자인을 전개하였으며, 두벌의 실물 작품을 제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전통 복식으로 명나라 한푸의 기본 구조를 통해 한족의 민족 문화와 아름다움과 풍부함을 알아볼 수 있었다. 둘째, 명나라 한푸와 고딕 양식을 결합함으로써 중국의 전통문화를 융합적 디자인의 전개로 새롭게 전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전통 문화의 패션 디자인 적용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CLO 3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중국과 서양의 문화적 결합 가능성을 실현하는 동시에 더욱 많은 의미 있는 디자인 창출이 가능할 수 있다. CLO 3D에 의한 의류개발과 생산의 디지털화가 실제 운용에서 가능해져 생산과정이 최적화되고, 의류개발의 개발주기가 크게 단축됨과 동시에 옷의 사용 가능성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착의 디자인 전개는 디지털 패턴의 수정이 간단하고 원가절감의 실현에 큰 도움이 된다. 한푸(汉服)는 한족의 전통 복식이 되었고 중시되고 있지만, 한푸의 보급도가 높지 않다. 이는 중국 전통복식에 대한 인식으로 많은 사람들은 치파오가 한푸로 알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의 패션 디자인 전개 및 작업을 통해 한푸의 중서문화의 교류를 경험한다면, 한푸의 보급과 발전을 기할 수 있을 것이며, 한푸의 영향력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977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12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