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 0

서해 연안권 구석기의 성격 연구 - 인천과 시흥, 안산을 중심으로 -

Title
서해 연안권 구석기의 성격 연구 - 인천과 시흥, 안산을 중심으로 -
Other Titl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leolithic Sites in the West Coast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Focusing on Incheon, Siheung and Ansan
Author
이정철
Keywords
서해 연안권(인천; 시흥; 안산); 구석기; 사면기원 퇴적물; 유적 변형; 중기 구석기공작; West Coastal Area (Incheon; Siheung; Ansan); Paleolithic; Colluvium; Post-depositional transformation; Middle Paleolithic assemblages
Issue Date
2020-12
Publisher
중부고고학회
Citation
고고학, v. 19, NO 3, Page. 5-32
Abstract
서해 연안권의 인천, 시흥, 안산에서 발굴조사된 8개소의 유적을 대상으로 지형ㆍ지질학적 분석과 석기의 분석을 통해 이 지역 구석기의 성격을 파악하였다. 유적은 동쪽에 발달된 산맥의 가지능선이나 저지성 구릉의 사면 및 사면말단부에 집중되며, 일부는 구릉 정상부에서 확인된다. 유적 주변으로는 서해로 흘러나가는 소하천이 흐르고 있다. 여러 유적은 해발 20m 이내에 집중되며, MIS 5의 해수면을 감안하면 MIS 5 후반부나 그 이후에 형성되었다. 유적 내 토양ㆍ퇴적물은 사면기원 퇴적물로 판단되며, 유물층도 사면 기원의 조립질 퇴적물이 급격하게 퇴적된 것이다. 따라서 유물과 퇴적층의 연대는 상이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유물층은 암적갈색 사질점토층과 암갈색 점토층에 분포하는데, 약 40,000년 전을 기준으로 구분된다. 석기는 골짜기에 집중되거나 사면과 그 말단에 분급을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유적 변형과 관련되며, 석기 구성에서 다듬은 석기의 우세, 유물의 재이동 과정에서 주목되는 여러면석기의 다수 출토와 마모된 석기 등이 확인된다. 석기공작의 분석은 유물 출토량을 감안하여 중기 구석기시대에 속하는 것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물은 대부분 주변 암맥 기원의 석영을 활용하였는데, 인천의 일부 유적에서는 응회암의 활용이 주목된다. 주요 다듬은 석기 중 대형석기는 주먹도끼류, 찍개류, 여러면석기 등이 중심이며, 소형석기는 긁개를 위주로 홈날, 밀개 등이 확인되고 있다. 이는 연구 지역과 인접하는 파주와 김포, 화성과 오산의 중기 구석기공작과 유사하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eight Paleolithic sites from Incheon, Siheung, and Ansan in the West Coast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involves some topographic/geological consideration of research areas and analysis of lithic assemblages discovered therein. The sites are distributed on the low hill slopes or at the foothills of mountain; some localities are discovered at the hill top regions. A small-scaled stream flows into the West Sea around this area. The sites are in general located about 20m above current sea level and they seem to have been formed during the later half of MIS 5 or afterward given the recorded mean sea level of MIS 5 in this area. Soils and sediments in this area possibly originated from adjacent hills and mountains. Artifact-bearing layers are likely to be the result of colluvial action, the rapid accumulation of coarse-grained from the slopes. Thus, the real age of the artifacts might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age of the sediments. The artifacts layer can be divided into two units: a 1) dark reddish-brown sandy clay one and a 2) dark brown clay layer. According to the acquired chronometric dates, each layer can be assigned to the Middle (before 40ka) and Upper (after 40ka) Paleolithic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of artifacts strongly reflects post-depositional transformation since they are concentrated and form a sorted stack inside valleys. The assemblage is dominated by modified tools and some polyhedrons, and bruised lithic pieces are also identified. The analysis of lithic specimens are limited to the seemingly Middle Paleolithic assemblages because those specimens are sufficient in number for analysis. Most specimens are made out of quartz originating from the vicinity; some examples of utilizing tuff around Incheon area is worth mentioning. The majority of modified tools include the hand-axe, chopper/chopping tools and polyhedron in the large tool category; such small tools as scrapers, notchs, and end-scrapers are also found. This type composition is quite similar to other Middle Paleolithic cases of neighboring area like Paju and Gimpo, Hwaseong and Osan.
URI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96680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3073
ISSN
1598-9852
DOI
10.46760/jbgogo.2020.19.3.5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연구정보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