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 0

군 복무 적합성 평가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환자군과 일반 외래 환자군의 인지적 및 심리적 특성의 차이

Title
군 복무 적합성 평가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환자군과 일반 외래 환자군의 인지적 및 심리적 특성의 차이
Other Titles
Differences in Cognitiv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Patients with Military Service Issues versus General Psychiatric Outpatients
Author
최준호
Keywords
군 복무 적합성 판정; 우울; 불안; 대인관계 문제; Military maladjustment; Depression; Anxiety; Interpersonal problem.
Issue Date
2020-11
Publisher
한국정신신체의학회
Citation
정신신체의학, vol. 28, no. 2, Page. 143-154
Abstract
연구목적본 연구는 군 복무 적합성 판정을 위해 내원한 환자들의 인지 및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 외래 환자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정신건강의학과에 병사용 진단을 위해 내원한 군 집단 108명과 일반 외래 집단 80명으로 총 1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집단 간에 인지 및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COVA와 절단점을 초과하는 사례수의 비율을 알아보는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군 집단에서 보이는 심리적 특성이 검사 시기와 상관없이안정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인지 알아보기 위해 집단 내 검사 시기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대응표본 t검증을 시행하였다. 결 과군 집단과 일반 외래 집단은 인지적 특성을 평가하는 WAIS-IV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타당도에서는 군 집단에서는 일반 외래 환자군에 비해 비전형 반응(F-r)과 비전형 정신병리 반응(Fp-r) 척도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적응 타당도(K-r) 척도는 유의미하게 낮았다. 더불어 심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BDI 와 MMPI-2-RF에서 일부 하위 척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정서적/내재화 문제(EID), 의기소침(RCd), 낮은 긍정 정서(RC2), 냉소적 태도(RC3), 인지적 증상 호소(COG), 무력감/무망감(HLP), 자기 회의(SFD), 효능감 결여(NFC), 스트레스/걱정(STW), 사회적 회피(SAV), 수줍음(SHY), 관계 단절(DSF), 부정적 정서성/신경증(NEGE-r), 내향성/낮은 긍정적 정서성(INTR-r) 척도에서 군 집단이 유의미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군 집단의 검사 시기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본 결과,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 론본 연구는 군 집단이 일반 외래 집단에 비해 증상에 대해 더 과대보고 경향성이 더 높고, 우울 및 불안과 같은 정서적 고통감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이 더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gnitiv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military service suitability issues compared to the general psychiatric outpatients. Methods:108 patients who visited psychiatric clinic center due to military service suitability issues and 80 general psychiatric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of university hospital. ANCOVA and chi-equare test were us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Furthermore, we utilized paired t-test to compare the scrore within military group depending on when they performed the psychological assessment. Results: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ilitary group and general outpatient group in WAIS-IV scores. However, military group scored remarkably higher than control group on validity scales, F-r and Fp-r whereas they scored lower on validity scale, K-r. Furthermore, militar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on BDI and MMPI-2-RF, EID, RCd, RC2, RC3, COG, HLP, SFD, NFC, STW, SAVE, SHY, DSF, NEGE-r, INTR-r.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in the military group following the periods of assessment, military group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overall scales of MMPI-2-RF. Conclusions: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military group tends to report their psychological distress more exaggeratedly. In addition, they had significantly elevated not only emotional distres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but interpersonal problem.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URI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2009135472836.page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2400
ISSN
1225-6471
DOI
10.22722/KJPM.2020.28.2.14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EDICINE[S](의과대학) > MEDICINE(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