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상원-
dc.date.accessioned2022-06-28T06:54:15Z-
dc.date.available2022-06-28T06:54:15Z-
dc.date.issued1999-11-
dc.identifier.citation한국통신학회논문지. 1999-11 24(11):1783-1790en_US
dc.identifier.issn1226-4717-
dc.identifier.issn2287-3880-
dc.identifier.uri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21410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147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가변율 half rate 음성 부호화기를 설계하였다. 유, 무성음과 묵음의 구분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 에너지와 음성 파라메터들을 이용한 효과적인 voicing 결정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유성음을 위한 half rate 음성 부호화기는 저속에서 좋은 특성을 보이는 generalized AbS구조를 이용하였다. LPC 계수는 LSP 계수로 변환한 후 predictive 2-stage VQ를 통해서 양자화하며, 여기 신호는 음질저하를 최소화하며 복잡도를 감소시킨 shift 방식의 대수적 고정 코드북 구조를 사용하고, 적응코드북과 여기코드북의 이득은 VQ로 양자화 하였다. 무성음을 위한 부호화기는 대부분이 유성음을 위한 부호화기와 동일하지만, 무성음에서는 피치간 상관도가 매우 낮으므로 피치 보간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개루프로 피치 lag를 찾은 후 전체 프레임에 사용한다. 1 kb/s 부호화기는 묵음 구간과 주변소음 구간에 사용되며 이 구간의 신호를 피치 성분이 미약한 주변소음들로 제한하고 이에 최적인 부음성 부호화기를 설계하였다. 최종적으로 완성된 가변율 half rate 부호화기는 voice activity factor(VAF)가 0.47인 시험음성에서 약 2.6 kb/s의 평균 전송률을 보였다. 주관적 음질 평가의 일환으로 IS-96 표준 코덱인 가변율 8 kb/s QCELP와 A-B preference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결과 평균전송률이 약 2배인 가변율 8 kb/s QCELP 보다 우수한 음질 성능을 보였다.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본 연구는 정보통신부에서 지원하는 대학시초연구지원사업(과제번호: C1-98-5011)으로 수행되었습니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통신학회, 1999.en_US
dc.title가변율 half rate 음성 부호화기의 설계en_US
dc.title.alternativeDesign of a variable half rate speech codec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journal한국통신학회논문지-
dc.contributor.googleauthor성, 호상-
dc.contributor.googleauthor강, 상원-
dc.relation.code2012101759-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
dc.sector.department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dc.identifier.pidswkang-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공학대학) > ELECTRICAL ENGINEERING(전자공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