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 473

환경판례의 이상과 현실

Title
환경판례의 이상과 현실
Other Titles
Theory and Reality of Environmental Law Cases
Author
김홍균
Keywords
환경판례; 대법원; 사법적극주의; 사법자제; 환경권; 사법심사; 이론과 실제; environmental law case; Supreme Court; judicial activism; judicial restraint; right to environment; judicial review; theory and reality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국환경법학회
Citation
환경법연구, v. 42, no. 2, page. 1-45
Abstract
법원은 권리보호의 최후의 보루이다. 그 동안 법원이 보여준 권위있고, 최종적 인 결론은 감탄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학계 및 실무에서 심한 논란이 있는 사안사안마다 내린 단호한 결론은 논란을 일순간에 잠재우곤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극히 일부에 불과하지만, 일부 판결은 논란을 잠재우기는커녕 논란을 부추기고 있다. 논리의 부족, 부정확한 표현, 도망갈 여지를 두는 모호한 입장, 판결간의 번복 또는 상충, 정치적 논리의 전개 등이 그 주범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환경지식・경험의 한계, 전문성의 부족, 환경철학의 부재, 환경문제 인식 에 대한 차이, 자신감의 결여 등이 복합적으로 기여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환경문제가 심각해지고 내용이 복잡해짐에 따라 환경소송은 폭증하고, 쟁점은 보다 넓어지고 세밀해지며, 그에 따라 법리도 더 복잡해지고 다양해질 것이 분명 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논란을 불식시키기는커녕 논란을 부추기고 안정적으로 문제 해결을 하지 못할 경우에는 사회갈등은 계속되고, 더욱 첨예화되면서 사회 적, 국가적 혼란, 자원낭비가 초래될 것이다. 법원에 대한 신뢰가 추락하고 법원의 권위는 그만큼 추락하고 말 것이다. 문제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권리보호를 요청 하는 국민 개개인이 그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는다는 것이다. 환경판례가 빠른 속도로 축적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사례연구를 거쳐 이론과 실제를 살피고 그 허와 실을 살피는 것은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중간점검의 시간을 갖는다고 보면 된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는 생각만큼 크지 않다고 생각하 면 편하다. 판결도 인간이 하는 것이므로 완벽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그 만큼 편하다. 일부의 판결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은 아예 무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약간의 시사점이라도 이를 인식하고 이상과 현실의 간극을 좁히려는 노력을 한다 면 환경권 보장은 그 만큼 빨리 그리고 확실히 보장되는 것이 아닐까. 법원이 환경이익이 “한 차원 높은 가치”,1) “영업상의 이익 또는 여가생활 향유라는 이익 보다 훨씬 우월한 이익”,2) “토지소유권을 행사하는 경제적 자유보다 우선하는 지위”3)라고 이해하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국민은 이것이 단지 이론에 그치 지 않고 실제도 그렇게 되기를 고대하고 있다. 법원의 거듭나기와 용기가 필요하다. When it comes to protecting rights, the court should serve as its last fortress. While the court over the days has shown ample examples of authoritative and admirable decisions enough to quiet down controversies, some of its judgments, though few in the number of cases, has ironically resulted in more argument. The main culprits behind these cases include the lack of logic, inaccurate expressions, ambiguous stances that provide loopholes, reversals and conflicts in and among decisions and the involvement of politics. In the backdrop, the lack of environmental knowledge and experience, the shortage of expertise, the absence of environmental philosophy, the divergence i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the lack of confidence has also contributed to the problem. As environmental problems intensify and its contents become more complicated, entailing issues will both widen and become more detailed. As a result, related legal theories will be to become more complex and diverse too. If the court fails to settle controversies only to incite more of them, social conflicts will continue, causing nation-wide chaos and waste of resources. People will consequently lose faith in the court and it’s authority will plunge. The problem doesn’t end here -- individuals seeking the protection of their rights will be hit most directly. At a time when environmental judicial precedents are quickly accumulating, a case study would help us look at theory and reality and their weaknesses and strengths. We can think of it as a interim review, and it would be convenient to keep in mind that judges are human too. It may be difficult to deduce implications from just a few cases, but the smallest step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ory and reality will help bring forward the ultimate and definite protection of environmental rights. It is already encouraging to see the court consider the environmental interest as a “higher value”, “something more superior to business profits and the benefits of enjoying leisure” or “a status that comes before the freedom of exercising land ownership”. The public is anticipating these perceptions to become a reality and not stay as mere theories. It is time for the court to pluck up courage and reform itself.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2240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9698
ISSN
1225-116x
DOI
10.35769/elr.2020.42.2.001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연구정보
Files in This Item:
환경판례의 이상과 현실.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