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2 0

이익동조성(Earnings co-movements)에 관한 연구

Title
이익동조성(Earnings co-movements)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arnings co-movement
Author
박형주
Alternative Author(s)
Hyung Ju PARK
Advisor(s)
조중석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In t is study, I examine t e effect of earnings co-movements on information asymmetry, analysts’ earnings forecasts and earnings management, earnings informativeness. The concept of earnings co-movements used in t is study was derived from Jackson et al. (2017), who argue t at earnings co-movements are a function of t e bias of an earnings signal. This means t at with earnings co-movements of firms in t e same industry, t e market can imply information from industry earnings about a firm’s earnings and is better able to correct for bias. My study contributes to t e literature, providing evidence of t e phenomenon of earnings co-movements for information asymmetry, analysts’ earnings forecasts and earnings management, earnings informativeness. In Part 1, I examine whether t e degree of earnings co-movements improves or diminishes information asymmetry and analysts’ earnings forecasts. As a firm’s performance is correlated with industry earnings, market participants can consider whether a firm’s information is reliable. Additionally, When earnings co-movements are low, information asymmetry increases because market participants are likely to have difficulty accessing firm-specific information. Intuitively, earnings of firms in t e same industry co-move, allowing outside stakeholders to use earnings information in a manner similar to t at of t e market and, industry by using a comparable firm's information as additional input. Th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 is prediction. First, I have found t at t e bid-ask spread is significantly less for firms with low earnings co-movements. These results reinforce t e inference t at investors in firms with higher earnings co-movements face less information asymmetry. Second, I examine how earnings co-movements affect analysts’ forecast errors. If a firm with high co-movement is more prehensible, analysts can make accurate earnings forecasts. A wealth of information is available, and it is of use if analysts have an adequate abilit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 e forecast t ere in. Further, t ey do not have to obtain additional private information. Overall, my findings suggest t at co-movements can be used to increase t e efficiency of understanding information asymmetry and analysts’ earnings forecasts. In Part 2, I analyze whether t e degree of a firm’s earnings co-moves with t e industry, which in turn influences t e market to unravel bias in reported earnings. The objective of Part 2 is twofold. First, I investigate how earnings co-movements affect earnings management. If a manager’s ability to bias a report is a function of how much t e market is able to a lot about a firm made by other firms. If a firm's earnings are analyzed with aggregate industry earnings, investors can make better use of a firm's performance to analyze other firms with relatively less effort. Thus, t ey are less likely to acquire firm-specific information. Second, I analyze t 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co-movements and market reac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arnings co-movements and earnings informativeness have been predicted in t eoretical discussions, and t e results of t e relationship are mixed (Jackson et al. 2020). This study contributes to t e literature in several ways. First, t e results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t e research related to earnings co-movements from a relevant analysis, which is t e first such research in Korea. In particular, t e more earnings co-move with industry, t e less information asymmetry. Second, t is study provides extensive empirical analyses on earnings co-movements and earnings management. That is, it provides useful insights for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regarding t e ways investors are able to use t is information. Third, my findings regarding co-movement are important for investors because earnings t at co-move significantly affect investor welfare. Moreover, t e results of t is study enhance t e understanding of t e usefulness of earnings co-movement and are of value to financial analysts, managers, and academics| 본 논문은 이익동조성(earnings co-movements)을 중심으로 이익동조성이 정보비대칭 및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에 미치는 영향과 이익동조성이 이익조정과 시장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두 개의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익동조성이란 Jackson et al.(2017)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개별 기업이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과 유사한 이익창출과정을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주는 지표이다. 즉, 높은 이익동조성을 가진다는 것은 산업이익으로 개별기업의 이익을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이 크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시장에서 개별 기업의 이익에 대한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 이익과의 유사성을 통해 기업의 경영성과가 신뢰성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의 첫 번째 연구에서는 개별 기업이 해당 산업 내 유사한 이익창출과정을 가지고 있어 이익동조성이 높을 때, 정보비대칭 현상 및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연구는 개별 기업과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과의 이익동조성이 높을 때,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한 기업의 이익조정 및 시장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 기업의 이익이 해당 산업과 유사한 이익창출과정을 가지고 있는지를 이용하는 이익동조성을 활용하여 이익동조성이 정보비대칭,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이익조정 및 시장반응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두 개의 연구의 주요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기업의 이익이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과 유사한 이익창출과정을 가질 때, 정보비대칭 현상이 줄어들고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이 정확해지는지를 분석하였다. 개별 기업의 이익이 산업과의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을 때 정보이용자들은 이를 활용하여 개별 기업성과의 이해 및 분석을 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 즉, 정보이용자들이 해당 기업의 이익정보에만 의존하지 않아도 산업정보를 활용해 해당 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산업 내 기업 간 비교 분석을 통해 기업고유위험을 식별할 수 있게 도와준다. 따라서 투자자들이 기업과 산업 간의 높은 관련성을 활용하면 불필요한 정보수집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증분석 결과, 기업과 산업 간 이익동조성이 높을수록 일별주가변동성 스프레드(HIGHLOW SPREAD)과 매도-매수호가 스프레드(BIDASK SPREAD)를 이용한 정보비대칭(information asymmetry) 현상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분석을 통해, 이익동조성이 낮을 때 자발적 기업공시기업과 정보비대칭 간의 음(-)의 관계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자가 이익동조성이 낮을수록 기업 내부자와 외부 이용자 간의 정보비대칭을 낮추기 위해 경영자예측정보(management earnings forecast)를 자발적으로 공시할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하여 정보비대칭현상이 약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이익동조성이 높을수록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은 증가하고 이익예측 분산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익동조성과 정보비대칭 및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와 연결지어 그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과정에서 이익동조성이 정보비대칭 현상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임을 실증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기업과 산업의 이익동조성이 높을 때, 이익조정 및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이익동조성이 높을수록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한 기업의 이익조정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과 산업과의 관련성을 통해 정보이용자들은 시장에서 기업의 편향적인 이익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익동조성이 높을수록 경영자가 기회주의적으로 이익조정을 할 가능성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익동조성과 비기대이익으로 측정한 시장반응과의 관련성은 두 가지 관점을 예상할 수 있다. 먼저, 이익동조성이 높을수록 정보이용자들은 해당 기업의 이익정보에 의존하지 않아도 산업정보로부터 해당 기업의 관련된 이익정보를 충분히 예상할 수 있게 된다. 즉, 개별 기업에서 제공하는 이익 정보에만 의존하지 않아도 시장에 충분히 벤치마크를 할 수 있는 정보가 있기 때문에 개별 기업의 비기대이익이 낮을 것이라고 보는 관점이다(Jackson et al. 2020). 두 번째 관점은 이익동조성이 높을수록 산업과의 연관성을 통해 정보이용자들이 쉽게 기업의 비편향적인 이익을 쉽게 추론할 수 있게 되어 경영자가 편향된 이익을 보고할 여지의 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관점이다(Jackson et al. 2017). 따라서, 시장에서 해당 기업의 이익 정보를 쉽게 예측하고 추론 가능하다면 개별 기업의 비기대이익은 높을 것이라고 보는 관점이다. 이와 같이 상반된 관점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익동조성과 비기대이익 간에는 관계가 없다는 귀무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이익동조성이 높을수록 비기대이익과 양(+)의 관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선·후공시기업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선공시기업의 경우, 이익동조성이 높을수록 비기대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익동조성이 높을수록 정보이용자들이 시장에서 개별기업고유의 관련 정보를 쉽게 예상 및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 기업의 이익정보에만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익동조성이 높을 때 낮을 때 보다 개별 기업의 이익정보성(earnings informativeness)이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익동조성과 이익조정 및 비기대이익으로 측정한 시장반응과 연결지어 그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익동조성이 이익조정과 시장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임을 실증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과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 정보간의 이익동조성이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한 이익조정에 미치는 효과와 비기대이익간에 관계가 차별적으로 나타난다는 실증적인 증거를 제시한다. 기업이 산업과 높은 유사성을 가질수록 기업 정보의 신뢰성 및 정보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은 하지만, 이러한 예상을 실제로 입증한 연구가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과 산업 간의 동조성을 활용하여 이익조정과 비기대이익으로 측정한 시장반응과 연결시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익동조성이 높을수록 시장에서 해당 기업의 이익 정보를 보다 쉽고 정확히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경영자의 편향적인 이익조정을 파악할 수 있다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한다. 이러한 점에서 이익동조성이 기업의 이익조정을 파악하는 데 요인임을 실증분석했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이익동조성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효과가 이익동조성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한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과 산업간의 이익동조성이 기업의 편향된 이익을 판단할 수 있는 장치로서 유용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점을 가진다. 셋째, 이익동조성이 시장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선·후공시 기업을 고려하여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선행연구 영역을 확장했다는 데 기여하는 바가 있다. 넷째, 이전의 선행연구에서 주가의 동조성에 관련한 선행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회계정보인 이익의 동조성에 관련한 선행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이익과 산업 간의 이익의 동조성을 이용하여 시장참여자들의 반응 및 회계선택 등 다양한 분야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분석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점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최근 회계분야에서 산업정보 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기업과 동종 산업내의 다른 기업들 간 비교가능성을 살펴본 연구도 있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이익동조성은 기업과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정보 간의 관련성을 가지고 정보 활용 주체인 외부정보이용자의 반응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재무분석가의 산출물인 이익예측정보 분석능력에 어떠한 차별적인 영향력을 가지는지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있다. 앞으로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를 토대로 기업과 산업 간의 높은 관련성을 가진 기업에 관해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8925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2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