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0 0

애자일 스크럼에서 로봇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키워드 기반 체크리스트 테스트 방법

Title
애자일 스크럼에서 로봇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키워드 기반 체크리스트 테스트 방법
Other Titles
How to Test Keyword-based Checklist using Robot Framework in Agile Scrum
Author
송선주
Alternative Author(s)
Song, Sun joo
Advisor(s)
조인휘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애자일(Agile)로 성공한 기업들이 많으면서 IT 뿐만 아니라 경영적으로도 애자일(Agile)을 적용하려고 하고 있다. 소프트웨어의 발달과 고객의 요구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개발이 되면 빠르게 대응이 되어야 했다. 애자일(Agile) 방식 중에 애자일 스크럼(Agile Scrum)을 사용하게 되면서 확 바뀐 프로세스에 적응하기란 쉽지 않았다. 특히, 짧아진 개발 기간과 QA 기간으로 인해 체크리스트 수동 작성 및 수동 테스트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키워드 기반 체크리스트 방법을 사용하였고, Python과 Robot Framework, Selenium을 이용하여 자동화 테스트 환경을 구축하고, 간단한 예제로 실행해본다. Robot Framework에서 제공하는 키워드를 이용해 3가지 시스템(로그인/로그아웃, 메뉴관리, 설정)의 체크리스트를 작성해 설계했다. 작성한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실행 명령어를 입력해 자동으로 테스트하는 것을 확인했다. 테스트가 완료되면 결과 파일이 따로 생성됐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키워드 기반 체크리스트 테스트 방법을 적용한 결과로 체크리스트의 작성 시간과 작성 개수를 각각 줄일 수 있었고, 반복적 테스트의 효율성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유지 보수 비용의 감소, 가독성, 재사용성, 히스토리 관리가 용이해 QA의 리소스 관리가 효율적으로 될 수 있었다. | Recently, there are many companies that have succeeded in Agile, and they are trying to apply Agile not only in IT but also in management. With the development of software and the increase in customer requirements, it was necessary to respond quickly when developed. It was not easy to adapt to the radically changed process as Agile Scrum was used among the Agile methods. In particular, due to the shortened development period and QA period, it was difficult to create checklists and test manually. In this paper, a keyword-based checklist method is u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an automated test environment is built using Python, Robot Framework, and Selenium, and implemented with a simple example. Using keywords provided by Robot Framework, a checklist of three systems (login/logout, menu management, and setting) was created and designed. Based on the created checklist, it was confirmed that the test was performed automatically by entering the execution command. When the test is completed, a separate result file is create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keyword-based checklist test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checklist creation time and the number of preparations, respectively, and the efficiency of repetitive testing was improved. In addition, QA resource management could be made more efficient due to the reduction of maintenance cost, readability, reusability, and easy history management.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570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38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전기ㆍ전자ㆍ컴퓨터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