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 0

산업도시 열환경 취약성 분석을 통한 유형별 그린인프라 전략 연구

Title
산업도시 열환경 취약성 분석을 통한 유형별 그린인프라 전략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Green infrastructure design strategy study by type through analysis of vulnerability to thermal environment in industrial cities – A Case Study of Pohang, Korea -
Author
마지연
Alternative Author(s)
MA, Jiyoun
Advisor(s)
김건우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most of the population lives in cities and continues to live a life adapted to the city. As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in a city, various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occur, and unless continuous environmental management is performed, the housing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city dwellers will decline in the not-too-distant future. In other words, it can be expressed that the public interest in ecosystem services has increased. Accordingly, it can be thought that it is the role of the city planner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o plan a city where people can easily access a comfortable environment even within a close living radius by actively introducing each type of green infrastructure in the city where the city dwellers live.In this study, we plan to conduct research with the purpose of presenting various design strategies that can be accessed up close in the city. First, the research scope for the city is established. There are various types of cities in Korea. In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it can be divided into regional urban planning, urban/gun basic plan, city/gun management plan, and district unit plan. It is divided into regional, agricultural and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s. Among them, this study will focus on urban areas where population and industry are dense, especially industrial cities.Although there are several industrial cities, in this study, Pohang, a representative steel city in Korea, was designated as the target site, and weights were calculated through AHP analysis. AHP analysis was performed by applying environmental, socioeconomic and urban infrastructure factors, which are final indicators, to green infrastructure by type. As a result of the AHP weight analysis, urban infrastructure factor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ranking, and among the 18 three-tier factors distributed in the upper and middle ranks of weights, the green space area, which is an urban infrastructure aspec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green infrastructure by type. was analyzed to be. The design strategy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ble to provide various expected effects, such as increasing green spaces in brown fields, regional industrial cities, and industrial cities that are still prevalent, enhancing resilience, and increasing opportunities for urban residents to provide ecosystem services. It is expected. However, through this study, a new alternative to urban design planning policy that can actually incorporate typified design elements is presented, and an empirical analysis of what results appear in cities when urban green infrastructure is built by applying this method is followed. Follow-up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산업화와 도시화를 통해 인구의 대부분은 도시에 거주하여 도시에 적응된 삶을 지속하고 있다. 도시에 인구가 밀집될수록 다양한 사회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지속적인 환경 관리를 하지 않으면 머지않은 미래에 도시민들의 주거 만족도 및 삶의 질은 하락할 것이다. 게다가 밀도가 높은 도시에서 기거하는 도시민 1인당 생활반경은 사회적 거리 제한으로 팬데믹 이전의 삶보다 훨씬 좁아졌다. 그에 대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도시민들은 쾌적한 환경에서의 여가와 쉼 즉, 자연환경이 주는 생태계서비스 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정보의 이동이 활발해지며, 결과적으로는 자연환경을 쫓아 움직이고 있다. 다시 말해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가했다고 표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시민들이 기거하고 있는 도시 내에 유형별 그린인프라를 적극 도입하여 가까운 생활 반경 안에서도 쾌적한 환경을 쉽게 접할 수 있는 도시를 계획하는 것이 시대적 흐름에 따른 도시계획자의 역할이 아닐까 생각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에서 가까이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설계 전략을 제시할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먼저 도시에 대한 연구 범위를 설정한다. 우리나라에서 도시의 유형은 다양하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는 광역도시계획, 도시·군기본계획, 도시·군관리계획, 지구단위계획으로 나누어 볼 수가 있고, 도시·군관리계획 내 용도지역에 따라 우리나라는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립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나뉜다. 그 중 본 연구에서는 인구와 산업이 밀집되어있는 도시지역, 그중에서도 산업도시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해보려 한다. 여러 산업도시들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철강도시 포항시를 대상지로 지정하였으며, 이론분석 및 법규, 선행연구 고찰로 인해 다양한 요소들을 유형화하여 도시 열환경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그린인프라 방안을 구축하고자한다. 연구의 진행순서는 선행연구 및 관련 법규의 분석을 통해 산업도시와 열환경 취약성, 유형별 그린인프라에 대해서 이론고찰을 진행하고 산업도시 열환경 취약성 평가지표 및 유형별 그린 인프라 중요도 평가 지표를 선정하기 위한 로우데이터를 구축한다. 선행연구 및 관련 법규 분석을 통한 로우데이터를 나열하고 산업도시의 열환경 취약성 평가 지표를 9가지로 추출한다. 열환경 취약성 평가지표는 그린인프라의 수직적 통합계획으로 분류한 선행연구에 따라 환경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도시인프라적 요인으로 대분류를 하고 환경적 요인의 세부 지표로서 지구 온난화 상승과 도시화에 따른 도시열섬현상등 기상환경을 나타내는 기후환경, 산업도시의 특성에 따라 도심내 공장의 분포도, 공장운영으로 인한 산업단지 주변의 PM10 미세먼지 농도,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량등 산업단지가 도시 열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산업환경으로 분류하였다. 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될 때 그린인프라를 고려하지 않고 계획할 경우 동식물의 서식처 수는 줄어들고 도심 내 생물다양성은 저하 될 것이며, 개체 수 또한 줄어들게 되는 것을 생태환경으로 구분하였고, 사회경제적 요인에는 도심 내 열환경에 취약한 연령과 취약계층을 나타내는 지표인 인구의 고령화, 취약계층 주거지를 포함하였고, 도시민들의 사회 경제 활동이 일어나는 지역, 즉 노동자들이 모이는 공간을 사회경제적 인구밀집이 나타나는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시인프라적 요인에는 찬공기의 흐름 강도가 적게 나타나는 지역은 열환경 취약성이 높은 지역으로 판단하였으며, 도심 내 녹지 및 수공간의 면적의 비율에 대한 부분을 그린녹지인프라로 분류하였다. 도시는 도로 및 교통망에 의해 지역적, 광역적으로 분산이 되기 때문에 자동차 등록대수, 비점오염원의 화학 물질별 배출량, 도로율등을 도로교통인프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1980년 이전에는 건축물의 단열에 대한 법규 제정이 이루어지기 전이므로 건축물의 열효율성이 상당히 저하되므로 냉난방등에 따라 인공배열이 많이 발생하여 1980년 이전 준공된 건물은 도시 열환경을 취약하게 하는 요인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건축물의 표면적이 많고, 건물이 높을수록 인공잠열이 많이 발생하여 도시 열환경에 취약하므로 건축빌딩인프라로 구분하였다. 이어 분석의 틀에서는 앞서 분류한 지표들을 전무가 인터뷰를 통하여 다듬는 과정을 거쳤다. 도시 환경 및 그린인프라 관련한 건설회사, 설계사, 연구원, 교수, 공무원등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하여 세부 요인 및 산업도시 열환경 취약성 분석을 통한 그린 인프라 중요도를 위한 설문지의 항목을 다듬었다. 이를 통해 최종 중요도 분석 계층을 확정하고, 전문가 집단 30여명을 대상으로 중요도에 대하여 설문을 하고, AHP 분석을 통해 가중치 산정을 진행하였다. 최종지표인 환경적, 사회경제적, 도시인프라적 요인들을 유형별 그린인프라에 적용하여 AHP분석을 수행하였다. AHP 가중치 분석결과 도시 인프라적 요인이 가장 높은 순위로 나타났으며, 특히 가중치의 상위권과 중위권에 분포하는 18가지의 3계층 요인들 중 도시인프라적 측면인 녹지공간면적은 유형별 그린인프라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을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설계 전략은 앞으로의 브라운필드, 또는 지방 산업도시, 현재까지도 성행하고 있는 산업도시의 녹지증대, 회복탄력성 증진, 도시민의 생태계 서비스 제공기회 증가등을 위한 그린인프라 전략적 측면에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계획하기 때문에 적절한 그린인프라 계획 전략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유형화 된 설계요소들을 실제로 접목할 수 있는 도시설계 계획 정책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이 방법을 적용하여 도시 그린인프라를 구축하였을 때에 어떠한 결과가 도시에서 나타나는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 뒤따르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79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35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CIVIL AND LANDSCAPE ENGINEERING(건축ㆍ토목ㆍ조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