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연숙-
dc.contributor.author문승현-
dc.date.accessioned2022-02-22T02:10:56Z-
dc.date.available2022-02-22T02:10:56Z-
dc.date.issued2022.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5348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303-
dc.description.abstract최근의 청년은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다. 특히 IMF 경제위기부터 경험한 취업문제가 현재까지 심각한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청년들의 실업률은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이는 개인들이 지니는 역량 수준, 고용가능성, 직업에 대한 만족도 및 행복감, 더 나아가 건강에 이르기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청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지자체별로 청년조례를 만들고 청년거버넌스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여 이를 바탕으로 국가적으로 최근 청년정책이 제정되어 시행하게 되었다. 취업난에서 시작된 청년의 문제가 비혼, 비출산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문제 등으로 확대되고 있기에, 청년일자리 창출을 넘어 주거, 복지, 금융 등 지역의 활성화 및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들이 함께 모색되고 있다. 특히 서울시는 증가하는 청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의 기반을 마련하고 청년문제에 대한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청년허브와 무중력지대와 같은 청년공간을 은평구에 처음 개관하여 청년들을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서울시는 구체적인 청년문제 해소를 위한 정책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청년정책 전달체계를 형성하였다. 이에 청년정책을 청년들에게 전달하는 적극적인 플랫폼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센터’ 및 ‘서울청년센터 오랑’ 등의 청년공간을 설립하였다. 청년공간은 청년지원기관으로서 청년 커뮤니티 및 단체 활동의 지원, 청년의 취업 및 창업과 같은 일자리 진입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공간의 확산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청년공간은 단순히 청년에게 활동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청년의 일자리 지원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청년 정보의 제공 및 각 분야 맞춤 상담이 이루어지는 등 현대사회의 청년들에게 중요한 공간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이러한 청년공간에 대한 홍보나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청년의 개념과 청년정책 발전과정, 청년공간의 현황과 형성배경 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여섯가지 청년정책에 따른 청년공간의 디자인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 청년공간 10곳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청년공간의 디자인 특성을 통해 사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청년정책과의 특성과 청년공간의 디자인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참여성, 지역성, 지원성, 가변성, 접근성, 교류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청년공간 중 청년전달체계에 해당하는 공간으로서 2020년 이후에 개관되었으며 서울시에 위치한 10개의 서울청년센터 오랑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청년공간 사례 별 드러나는 세부 특성에 따라 청년정책에 따른 서울시 청년공간의 디자인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셋째. 서울시 청년공간의 공간구성 및 서울시 청년공간 별 참여성, 지역성, 지원성, 가변성, 접근성, 교류성에 대한 세부특성을 바탕으로 디자인특성을 분석하여 각 공간 별 차이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보완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공간의 활성화를 위하여 청년정책에 따른 청년공간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청년공간은 청년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공공시설물로서 청년들의 요구와 목적에 맞게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청년문제를 구체적으로 파악한 뒤 이를 공간에 반영하여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향후 청년공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청년정책을 전달하는 공간으로서 공간 계획에 도움이 되며 청년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청년정책에 따른 서울시 청년공간의 디자인 특성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Youth Space of Seoul from the Youth Policy -Focus on the Seoul Youth Center Orang--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문승현-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unghyun Moo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실내건축디자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