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남경숙-
dc.contributor.author만언진-
dc.date.accessioned2022-02-22T02:10:47Z-
dc.date.available2022-02-22T02:10:47Z-
dc.date.issued2022.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1704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296-
dc.description.abstractSince the 21st century, information intelligence technology has been rapidly changing our lives.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grew rapidly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ed the industrial transformation. Many companies' working patterns and industrial structures have also changed. The emerg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hanged the way work spaces are expressed. The concept of a shared office space is proposed to be recognized by users, and a space with distinctive and clear purpose is installed based on the user's purpose of life and satisfaction. Through this, the user's mental sense and work efficiency have been improved, and the division of shared spaces has become clear and functionality has become important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Since the 2008 financial crisis, the Korean economy has rarely found a recovery phase amid high youth unemployment and low growth in aging. Officetels, which have been newly built since 2010, have shown high vacancy rates amid sluggish officetel rental industries. Since 2013, the idle rate of government buildings has increased due to the relo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to provincial areas. Three business districts in Yeouido, downtown, and Gangnam are affected, increasing the risk of idle government buildings. The economic recession, employment of young people has been sluggish, making it impossible for traditional companies and office space types to represent the demands of all users. Due to the low cost demand from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single-person enterprises, it was found to be a popular option for young people and middle-aged re-employment companies. Since COVID-19, such office methods have emerged a lot in Korea. Rather than the traditional organizational-first atmosphere, SMEs and individuals' work methods are flexible and value the abilities of teams and individuals. As a result, the number of users sharing office spaces is gradually diversifying. The generational shift in office space design intuitively shows the emotional needs of employees at the time and the flow of working environments by period. In the COVID-19 era, the way companies work has changed. The composition ratio of office space users is also lacking in detailed investigation. By analyzing the spatial composition ratio and spatial design elements of office space, it is possible to summarize the user's functional needs and the flow of the working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spatial components through the types of office methods and spatial components for shared office spaces.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composition of shared office space, user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summarized. Shared office spaces include office space, office support space, and public community space. Currently, the mainstream office space types include open office space, closed office space, and team space. The office support space is the O.A room and the conference room. The public community space includes functions of a lounge, kitchen, cafe, and multipurpose room. Space targets are mainly single-person companies, small businesses, sub-sectors of large companies, prospective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hared office space include uniqueness, recharge, exchange, diversity and mobility.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a specific investigation method was confirmed. Eight popular shared office spaces of more than 500㎡ in Seoul were selected for the on-site survey. The area, arrangement, and composition of the space were examined. After the shared office space survey, a survey was prepared on the survey obtained in combination with previous studies. A total of 480 questionnaires and 403 actual questionnaires were written. The initial survey subjects were users of eight shared office spaces, but since it was COVID-19, an extensiv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Internet questionnaire. This study first conducted a prior study to find o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hared office space. Five characteristic factors of shared office space were investigat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with these five characteristics as starting point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shared office space on gender differences, both men and women preferred team space, followed by open office space. This means that the price and degree of opening of office space are the main reasons for users' use of office space, and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diversity of team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 shared office space and the convenience of opening shared office spac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solve the problem of well-equipped support spaces in order for shared office spaces to increase choices for men and wome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age on shared space, it was found that users in their 20s and 30s prefer team space in choosing shared space. Those in their 40s and 50s tend to prefer open spaces. This shows that users of various ages are more sensitive to the choice of shared office space typ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inforcement of this influence in the shared office space will take place in the fierce market for shared office space. It is continuously competitiv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shared office space on the job background, the preference for shared office space varie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user of each job.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T) and accounting/legal affairs use a more open shared office space. Fashion design, counseling services, biomedical, and education/culture prefer team office space. Therefore, open office space and team office space are also highly preferred for financial insurance. However, the choice of shared office space for sales prefers closed office space and team space.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job are influencing the choice of the type of shared office space. In future studies, the subdivision design of shared office space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job.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shared office space on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office spa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office space, identity, exchange, recharge and diversity, and mobility have a direct influence on satisfaction. Diversity and communication in the use of shared spaces are analyzed as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More space value can be obtained from the use of shared spaces, for example, better office facilities can be enjoyed, and communication helps to exchange thoughts and express inspiration. In this study, it changes according to the age, society, and form of office work. Looking a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office environment. Through the 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space users on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office space, the design trends of shared office space and users' satisfaction preferences were investigated, and the five spatial characteristics studied through this are presented on the future of shared office space.| 21세기 이후 정보 지능화 기술은 우리의 삶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 때 급성장한 과학기술 정보화 기술이 산업 변혁을 이끌었다. 많은 기업의 근무 패턴과 산업구조도 바뀌었다. 제4차 산업혁명의 등장은 작업 공간의 표현 방식을 바꿨다. 공유 사무공간이라는 개념이 제안돼 사용자들에게 인정받고 사용자의 생활 목적과 만족도를 기준으로 특색 있고 목적성이 명확한 공간을 설치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정신적 감각과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공유공간은 업무 유형에 따라 구분이 명확해지고 기능성도 중요해졌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한국 경제는 높은 청년실업률과 고령화의 저성장 속에서 좀처럼 회복 국면을 찾지 못하고 있다. 2010년 이후 신축된 오피스텔은 오피스텔 임대업종이 부진한 가운데 높은 공실률을 보였다. 2013년부터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으로 청사 유휴비율이 높아졌다. 여의도권, 도심권, 강남권 3개 업무지구가 영향을 받아 청사 유휴 리스크가 가중되고 있다. 경기침체 이후 청년층 고용이 부진해 전통적인 기업과 사무 공간 유형이 모든 사용자의 수요를 대변할 수 없게 됐다. 중소기업과 1인 기업의 원가 수요가 적어 청년층 취업과 중장년층 재취업 기업의 인기 선택지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이 같은 사무 방식은 국내에서도 많이 등장했다. 전통적인 조직 제일의 분위기 보다는 중소기업과 개인의 업무방식이 유연하고 팀이나 개인의 능력을 중시한다. 이에 따라 사무공간을 공유하는 이용자들이 점차 다양해지는 추세다. 사무실 공간설계의 세대교체는 당대 직원들의 감성적 욕구와 근무환경의 시기별 흐름을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코로나19 시대 기업의 업무방식이 바뀌었다. 사무 공간 이용자 구성 비율도 세밀한 조사가 부족하다. 사무공간의 공간구성 비율과 공간설계 요소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기능적 욕구와 작업환경의 흐름을 간추려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유 사무 공간를 위한 사무방식의 종류, 공간구성 요소 등을 통해 사용자의 공간구성요소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공유 사무 공간의 구성, 사용자 유형과 공간 특성을 정리했다. 공유사무공간에는 사무 공간, 사무지원 공간, 공용 커뮤니티공간이 포함된다. 현재 주류인 사무 공간 유형으로는 개방형 사무 공간, 폐쇄형 사무 공간, 팀 공간이 있다. 사무지원 공간은 O.A실과 회의실 등이다. 공용 커뮤니티 공간에는 휴게실, 주방, 카페, 다목적실의 기능이 포함된다. 공간 대상은 주로 1인 기업, 소기업, 대기업 서브부문, 예비창업자와 창업자들이다. 공유사무공간의 공간적 특성은 독자성, 재충전, 교류성, 다양성과 이동성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정보에 근거하여 구체적인 조사방법을 확정하였다. 현장조사로 서울지역 500㎡ 이상 인기공유 사무 공간 8곳을 선정했다. 공간의 면적, 배치, 공간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공유사무 공간 조사 후 선행연구와 결합해 얻은 설문조사에 대한 설문조사가 작성됐다. 설문지는 총 480부, 실제 설문지는 403부 작성됐다. 초기 조사 대상은 8개 공유 사무 공간 이용자였지만 코로나19 때라 인터넷 설문지 방식으로 광범위한 조사를 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공유 사무공간의 공간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우선 선행연구를 진행했다. 공유 사무공간의 특성요인 5가지를 알아보고 이 다섯 가지 특성을 출발점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공유 사무공간의 특성요인이 성별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유 사무 공간 선택은 남성과 여성 모두 팀 공간을 선호했고, 개방형 사무공간이 뒤를 이었다. 이는 사무공간의 가격과 개방 정도가 사용자의 오피스 공간 이용의 주요한 원인이며, 공유형 오피스 공간의 팀 커뮤니케이션 인프라의 다양성과 공유 사무공간의 개방 편의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공유사무공간이 남성과 여성에 대한 선택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원공간이 잘 갖춰지는 문제 해결이 중요하다.   둘째, 나이가 공유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20대와 30대 이용자들은 공유 공간 선택에서 팀 스페이스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와 50대는 개방적인 공간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다양한 연령층의 이용자들이 공유 사무공간 유형의 선택에 공간 유형을 더 민감하게 선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공유사무공간에 있어서 이러한 영향의 강화는 치열한 공유사무공간의 시장에서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속적인 경쟁력 있다. 셋째, 공유사무공간의 특성요인이 직업 배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직업별 배경 사용자에 따라 공유사무 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다르다. 정보통신기술(IT)과, 회계/법무는 보다 개방적인 공유 사무공간을 이용하고 있다. 패션 디자인, 상담 서비스, 바이오메디컬, 교육/문화는 팀 사무공간을 선호한다. 따라서 오픈형 사무공간과 팀 사무공간 역시 금융보험에게는 선호도가 높다. 그러나 판매의 공유사무공간 선택은 폐쇄형 사무공간과 팀 스페이스를 선호한다. 다시 말해 직업별 특성이 공유사무공간 유형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직업별 특성에 따라 공유 사무 공간의 세분화 설계를 고려해야한다 .  넷째, 공유 사무공간의 특성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유 사무공간특성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 사무 공간 특성 중 독자성, 교류성, 재충전 및 다양성, 이동성이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공유공간 이용에서의 다양성과 커뮤니케이션성이 이용자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분석된다. 공유공간 사용에서 더 많은 공간 부가 이용가치를 얻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더 나은 사무시설을 즐길 수 있고, 커뮤니케이션성이 생각의 교류와 영감의 발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무의 시대, 사회, 형태에 따라 변화한다. 사무 환경의 발전 방향을 살피며. 공유 사무공간의 특성에 대한 공간 사용자의 평가와 만족도를 통해 공유사무공간의 디자인 트렌드와 사용자의 만족도 선호를 알아보았으며, 이를 통해 연구된 5가지 공간 특성이 공유 사무공간의 미래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공유 사무공간의 공간 특성에 따른 사용성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Usabi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Office Spac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만언진-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Wan. YanChe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실내건축디자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