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용순-
dc.contributor.author한도연-
dc.date.accessioned2022-02-22T02:09:47Z-
dc.date.available2022-02-22T02:09:47Z-
dc.date.issued2022.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88631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249-
dc.description.abstract여러 식이 요인 중 체내 활성산소를 감소시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발암을 감소시키는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식이 항산화제는 유방암의 발병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으나, 식이 총 항산화능과 유방암 환자에서의 암 재발 사이의 연관성을 규명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이 총 항산화능과 유방암 환자에서의 암 재발 및 사망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수행하였다. 2011 년 3 월부터 2020 년 6 월까지 한양대학교 병원에서 유방암 수술을 받고, 수술 후 5 년 이내에 식이 조사를 받은 603 명의 유방암 환자를 연구 대상자로 모집하였으며, 추적관찰을 통해 암이 재발한 환자는 66 명, 사망한 환자는 38 명으로 확인하였다. 24 시간 회상법을 기반으로 식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항산화 영양소 42 개의 항산화능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산출한 식이 총항산화능에 따른 유방암 환자의 무병 생존율과 전반적인 사망율을 관찰하였다. 전체 유방암 환자에서 재발군의 식이 총 항산화능이 비재발군의 식이 총 항산화능보다 더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전체 식이 총 항산화능과 채소류 및 두류의 식이 총 항산화능이 높아짐에 따라 유방암 환자에서의 무병생존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식이 총 항산화능은 유방암 환자에서의 전반적인 사망율과는 관련성이 없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교란 인자를 보정한 후에도 전체 식이 총 항산화능, 채소류 및 두류의 식이 총 항산화능이 높은 분위일수록 유방암 환자의 암 재발이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에서 식이 총 항산화능과 암 재발 및 무병 생존율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한 최초의 연구이다. 연구 결과, 전체 식이 총 항산화능과 채소류 및 두류의 식이 총 항산화능이 유방암 환자에서의 암 재발과 무병생존율에 대해 유익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향후 더 많은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식이 총 항산화능과 암 재발 및 생존율 사이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Antioxidants reduce the risk of breast cancer by reducing oxidative stress, but the association of dietary total antioxidant capacity (DTAC) with cancer recurrence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breast cancer patient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that DTAC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cancer recurrence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Breast cancer patients (n = 603) who underwent breast cancer surgery and had a dietary survey within 5 years after surgery were recruited and followed up until the time of the fist confirmed cancer recurrence or mortality or the end of June 2021 whichever came first. This study observed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mortality in breast cancer patients according to DTAC calculated based on 24-h dietary recall. The DTAC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cancer recurrence than in those without cancer recurrence. DFS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DTAC (p = 0.005) and DTAC of vegetables and legumes (p = 0.001 and p = 0.010), respectively. However, DTAC was not associated with overall mortality.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TAC (hazards ratio [HR] = 0.439, 95% confidence interval [CI] : 0.26-0.94) and DTAC of vegetables (HR = 0.304, 95% CI : 0.14-0.65) and legumes (HR = 0.372, 95% CI : 0.18-0.73)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cancer recurrence in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DTAC and DTAC of vegetables and legume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cancer recurrence in breast cancer patients.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to indicate that DTAC and DTAC of vegetables and legumes could be beneficial in decreasing breast cancer recurrence. Further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 is needed to confirm the effect of DTAC on the cancer recurrence in breast cancer survivor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Association of dietary total antioxidant capacity with cancer recurrence and mortality among patients with breast cancer-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Doyeon HA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한도연-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식품영양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임상영양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FOOD & NUTRITION(식품영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