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1 0

성인발레 교육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개발 연구

Title
성인발레 교육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개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ress relief programs through adult ballet education
Author
오지연
Alternative Author(s)
Oh Ji Yeon
Advisor(s)
문영철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성인발레 교육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스트레스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스트레스 해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움직임의 요소, 음악적 요소, 창의적 요소를 기반으로 소매틱 발레를 활용한 성인발레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발레 아카데미와 성인발레 전문 학원 2곳을 선정하여 연구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적용시켰다. 연구의 대상자는 성인발레 수업 참여자 중 수업참여 기간이 1년 미만인 만 30세 이상 50세 미만의 성인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각각 40명씩 나누고, 스트레스 하위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스트레스 해소를 측정하기 위해 스트레스 반응척도(Stress Response Inventory : SRI)를 사용하였으며, 하위요인은 신체화, 우울, 분노로 분류되었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IBM SPSS 26.0 프로그램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설문지의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빈도분석과 독립 t-검정, 짝지은 t-검정을 사용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발레수업에 참여한 통제집단의 스트레스 정도는 사전보다 사후가 낮아진 것을 결과를 통해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스트레스 하위요인은 신체화, 우울, 분노 순으로 스트레스 정도가 감소하였다. 둘째, 소매틱 발레를 활용한 성인발레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정도는 사전보다 사후가 더욱 낮아진 것을 결과를 통해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은 신체화, 우울, 분노 순으로 스트레스 정도가 더욱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셋째,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모두 스트레스 하위요인이 신체화, 우울, 분노 순으로 감소되었으나 소매틱 발레를 활용한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하위요인이 더욱 큰 변화로 스트레스 정도가 감소되었다. 넷째,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모두 스트레스 정도가 감소되었으나 소매틱 발레를 활용한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감소가 더욱 큰 변화로 스트레스 정도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도출해 볼 수 있었다. 연구의 기간과 대상자의 수를 포괄적으로 늘려 장기간의 효과와 참여의 폭을 확대해 측정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여 성인발레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되어야 할 것이며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참여자들을 확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노인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의 정신적 건강을 위한 다양한 발레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stress relief program through ballet education for adults, and then to examine its positive effects on the stress relief. After developing a ballet program for adults by using the somatic ballet based on motion element, musical element, and creative element that could influence the stress relief, the researcher selected two places like ballet academy and ballet school for adults, and then directly applied the program to them. The research subjects were total 80 adults in their 30-50 who were participating in ballet class for less than a year. After dividing them into control group(N=40) and experimental group(N=40),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stress was comparatively analyzed.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SRI) was used for measuring the stress relief, and the sub-factors were classified into somatization, depression, and anger.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IBM SPSS 26.0 Program. And the reliability of questionnaire was verified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 t-test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stress of contro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eneral ballet class got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post-test than the pre-test. Regarding the sub-factors of stress, the degree of stress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somatization, depression, and anger. Second, the degree of stress of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ballet program for adults by using the somatic ballet got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post-test than the pre-test. Regarding the sub-factors of stress, the degree of stress was more greatly decreased in the order of somatization, depression, and anger. Third, the sub-factors of stress were decreased in the order of somatization, depression, and anger in both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stress relief program using the somatic ballet showed much greater changes in the decrease of stress regarding the sub-factors of stress. Fourth, even though both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decrease in the degree of stress,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stress relief program using the somatic ballet showed much greater decrease of stress. Thus, this program is regarded as having positive effects on the stress relief.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could be made as follows. It would be necessary to measure the long-term effects by expanding the scope of participation like comprehensively increasing the number of subjects and research period. The follow-up research should verify the effects of ballet program for adults by complementing this limitation. If a research is performed by expanding the participants to wider areas, it would be helpful for generalizing the results of study. Also, with the increased elderly popul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ballet programs for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007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08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