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4 0

로컬 거버넌스로서 평생무용교육 지원 모델 구축 방안 연구

Title
로컬 거버넌스로서 평생무용교육 지원 모델 구축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how to build a model to support lifelong dance education as a local governance : Focused on Seoul·Gyeonggi Cultural Foundation
Author
곽소윤
Alternative Author(s)
Kwak So Yoon
Advisor(s)
김운미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is a study on how to build a model to support lifelong dance education as a local governance. In the present era, the importance and valu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rising day by day, thus, culture and arts education as a lifelong education is developing in various forms and methods. With the development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nounced the implementation plan with the vision of cultural arts education that goes hand in hand with life. The promotion strategy is the slogan of establishing a regional-based ecosystem, and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was revealed by systematizing the promotion of region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with local arts and cultural education spaces and resources, and activating the cultural arts education cooperative network. As such, the government announced plans to promote region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 Seoul and Gyeonggi Cultural Foundations are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 plan to build a lifelong dance education support model as local governance. The first is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local governance. The cooperative local governance construction model divided the local governance components, such as resources, partnerships, networks, and participation, and established roles for each element. Resources, the first component, are the basis of arts education in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s resources are supplied through local resources. The second component is a partnership that encompasses cooperative activitie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s,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cultural arts education organizations, and citizen participants to establish cooperative local governance. The third element, the network, is determined and proceed by the partnership between local resources and stakeholders to provide civic participants with a network structure. The fourth factor is participation.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local governance is achieved through education,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demands of civic participants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Second, for the development of a regional-oriented cultural arts education support model, a model for developing regional resource art contents and regional specialized dance education support model was presented. As a way to develop a model to support regional lifelong dance education, the first is to discover regional resource art education contents that are unique to the region. It is necessary to discover materials suitable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utilizing cultural heritage, history,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local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which are the core purpose of the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support project. Second, as a local dance that contains Korean tradition, local culture, and local folklore, local dance can be used as a representative resource specialized for the private sector and the region. Third,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contents with tradition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implemented with the discovered resources. Dance education can be developed as a regional-based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content that utilizes the region, and is the most appropriate genre and model for the purpose of this support project. Fourth, because of this, it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art fields and is an art education that enables storytelling of local stories such as local dances and folk dances. Fifth, by developing a regional-specific dance education support model, each region has its own uniqueness and independence is established. Exchange of dance contents between regions is possible through the development of local content, and the art education linked to the region can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hrough this, Korean tradition and Korean dance can have topics that can be accepted by participants friendly with messages and storytelling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ccordingly, that is a field with universal value which can be enjoyed not only by a specific age, but by all ages who are subjects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s such, the exchange of local dance contents will revitalize local dance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lifelong dance education. In the present age, where integrated art education is revitalize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rt education differentiated by the independent education of dance. Lifelong dance education for adults and the elderly is oriented toward professional education that is ambiguous for both majors and non-majors. In line with the age of lifelong education, it should be conducted as an education with the meaning and value that only dance has as an in-depth artistic education that citizens want. For lifelong education, which was implemented with the Lifelong Education Act [Enforcement Dec. 6, 2008] and has achieved great development so far, dance education should also be continuously researched to provide professional arts education beyond cultural enjoyment and leis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ffectively conveys the role and value of Korean dance education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citizens, and furthermore, it establishes a support model as a lifelong dance education and suggests an implementation plan. In line with the post-coronavirus era caused by the current COVID-19 (Corona Virus Disease-19), lifelong dance education contents are expanded through online platform exchanges to expand regional dance education not only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but also across the country, and provide lifelong education to participants in art education. As such, I hope that dance education will be further expanded and developed.| 본 연구는 로컬 거버넌스로서 평생무용교육 지원 모델 구축 방안 연구이다. 현 시대는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가치가 날로 부상하고 있으며, 평생교육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은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이 발전함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는 삶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을 비전으로 시행계획을 발표하였다. 추진 전략은 지역 기반 생태계 구축의 슬로건으로 지역 중심 문화예술교육 추진 체계화와 지역 문화예술교육 공간 및 자원과 연계 강화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협력망 활성화로 문화예술교육 발전 전략을 밝혔다. 이와 같이 정부에서 지역 문화예술교육 추진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서울과 경기 문화재단은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에 이바지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로컬 거버넌스로서 평생무용교육 지원 모델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협력적 로컬 거버넌스 구축이다. 협력적 로컬 거버넌스 구축 모형은 로컬 거버넌스 구성요소인 자원, 파트너쉽, 네트워크, 참여를 나누어 각 요소에 맞는 역할을 정립하였다. 첫 번째 구성요소인 자원은 지역 내 자원을 통한 자원 공급으로써 지역 문화예술교육에 있어 예술교육의 기반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파트너쉽은 협력적 로컬 거버넌스 구축을 위하여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 광역 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 단체, 시민참여자 등으로 공공 영역과 민간 영역의 협동 활동을 포괄한 파트너쉽이다. 세 번째 요소인 네트워크는 지역 자원과 이해관계자들 간의 파트너쉽에서 결정되어 진행하는 네트워크 구조화로 시민참여자에게 공급한다. 네 번째 요소는 참여이다. 로컬 거버넌스에 의한 시민 참여는 교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에서 시민 참여자 즉, 교육 대상자의 수요와 요구에 따라 밀착형 문화예술교육이 시행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 중심 문화예술교육 지원 모델 개발을 위해 지역 자원 예술 콘텐츠 발굴과 지역 특화 무용교육 지원 모델 개발 모형을 제시하였다. 지역 중심 평생무용교육 지원 모델 개발 방안으로 첫 번째, 지역 고유의 특색을 띤 지역 자원 예술교육 콘텐츠 발굴이다. 지역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핵심 목적인 지역 유·무형 자원으로 문화유산, 역사, 주변 환경 등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에 적합한 소재를 발굴해야할 것이다. 두 번째, 한국전통·지역문화·지역설화를 담은 지역 춤으로 민간과 지역에 특화된 대표적 자원으로 지역 춤을 활용할 수 있다. 세 번째, 발굴한 자원으로 인해 전통적·지역적 특색을 담은 무용교육 콘텐츠 개발이 시행되어야 한다. 무용교육은 지역을 활용한 지역 밀착형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로 개발이 가능하며, 본 지원사업 취지에 가장 적합한 장르며 모델이다. 네 번째, 이로 인해 타 예술분야와 차별성을 지니며 지역 춤, 민속춤과 같이 지역의 이야기를 담은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예술교육이다. 다섯째, 지역 특화 무용교육 지원 모델 개발로써 각 지역마다 고유성을 지니고 독립성이 확립된다. 지역 고유의 콘텐츠 개발로 지역 간의 춤 콘텐츠 교류가 가능하며 연계 예술교육으로 지역의 특색을 지닐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국전통과 한국무용은 지역적 특색을 담은 메시지와 스토리텔링으로 참여자들이 친근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주제가 가능하며, 특정 연령뿐만 아니라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대상자인 전 연령이 누릴 수 있는 보편적 가치를 지닌 분야이다. 이처럼 지역 춤 콘텐츠가 교류 되어 지역 춤이 활성화 이루고 나아가 평생무용교육으로서 발전 및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통합예술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는 현 시대에 무용이 가지는 독자적인 교육으로 차별화 둔 예술교육을 시행해야한다. 성인과 노인의 평생무용교육은 전공자와 비전공자가 모호할 만큼 전문적인 교육을 지향하고 있으며, 평생교육시대에 발 맞춰 시민들이 원하는 깊이 있는 예술교육으로 무용만이 가지고 있는 의미와 가치를 지닌 교육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평생교육법[시행 2008. 12. 6.]으로 시행되어 현재까지 큰 발전을 이루고 있는 평생교육을 위해 무용교육 또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문화향유와 여가생활 이상의 전문적인 예술교육을 시행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에서 한국무용교육이 가지는 역할과 가치를 효율적으로 시민들에게 전달하고 나아가 평생무용교육으로서 지원 모델을 구축하여 실행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역 무용교육이 서울·경기 지역뿐만 아니라 현재 COVID-19(Corona Virus Disease-19)로 인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춰 평생무용교육 콘텐츠가 온라인 플렛폼 교류를 통해 전국적으로 확장되고 예술교육 참여자에게 시행되어 평생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이 더욱 확대되고 발전되길 바란다. 주제어: 로컬 거버넌스, 평생교육, 평생무용교육, 문화예술교육, 문화재단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033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08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