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7 0

재난상황에서의 가짜뉴스 식별: 영상 vs 문자

Title
재난상황에서의 가짜뉴스 식별: 영상 vs 문자
Other Titles
Identifying Fake news in the Disastrous situations: Video versus Text
Author
이창준
Keywords
가짜뉴스(fake news); 재난재해(disastrous situation); 매체형식(media types); 영상(video); 식별요인(identification)
Issue Date
2021-06
Publisher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Citatio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v. 38, no. 2, page. 83-120
Abstract
가짜뉴스가 기존 문자매체를 넘어 최근 영상매체로 확대되면서 진위여부 판단이 더욱 어려워졌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재난재해 상황에서 뉴스는 정보전달 등 여러 중요한 역할을 갖기 때문에 재난상황에서의 가짜뉴스는 더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짜뉴스를 식별하는 문제와 관련해 체계적인 분석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가짜뉴스의 매체 형식이 다양해짐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문자 형식의 가짜뉴스 식별에만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뉴스의 내용은 동일하지만 매체 형식이 다를 때 해당 뉴스에 대한 수용자의 진위 여부 판단 능력에 어떤 차이가 있을지 다항로짓모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가짜뉴스 식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매체 형식, 개인의 인지 · 경험적 요인,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고려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용자의 판단 능력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수용자는 영상 형식으로 제공된 가짜뉴스에 대해 자신이 판단한 진위여부에 더 확신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뉴스에 대한 평소 신뢰도, 정신적 피해 경험, 뉴미디어 선호도도 가짜뉴스 진위여부 식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forms of fake news has been diversified from text contents to video,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identify whether it is fake news or not. In addition, as the COVID-19 pandemic occurs, the seriousness of fake news problem related to national disastrous situation becomes more important in these days. Under these circumstances, despite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analysis in media research, the empirical analysis in fake news studies are still lacking. In particular, in spite of many concerns with false news in the various types of media, the previous researches have dealt only with the fake news identification in text contents. Therefore, by using the multinomial logit model,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in ability to identify fake news depending on the types of news presentation; video and text. For this purpose, three factors ‘presented types of articles, personal cognitive and experiential factors, and demographic factors’ are suggested. The result shows that respondents with video contents have more confidence in their answers, but actually they have poor ability to identify fake news. Moreover, it shows that psychological damage caused by false news, risk perception of fake news,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media als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identifying the truth.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7289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6567
ISSN
1598-5733
DOI
10.36494/JCAS.2021.06.38.2.8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