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진아-
dc.date.accessioned2021-09-09T05:22:48Z-
dc.date.available2021-09-09T05:22:48Z-
dc.date.issued2020-11-
dc.identifier.citation민속학연구, No. 47, Page. 99-125en_US
dc.identifier.issn1229-8662-
dc.identifier.ur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5501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508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무속의 타계관에 대한 통시적 접근을 위해 타 종교와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그 단계적 발전과정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무속의 죽음의례는 중국에서 유입된 사후세계관의 영향을 받아 죽은 자를 타계로 인도해주는 지노귀(指路鬼)적인 특징을 지닌다. 무속에서 사자(死者) 사후 심판자인 시왕[十王]은 가장 중요한 신으로 인식된다. 이는 중국에서 도교와 불교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여 형성된 시왕사상이 고려시대에 유입되어, 무속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또한 시왕사상이 정립되기 전 타계는 여러 다양한 이칭을 지니는 세계로서, 무의 지노귀에 의해 갈 수 있는 곳으로 인식되었지만 시왕사상 정립 이후에는 시왕의 심판을 통해 사자의 미래가 결정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시왕사상 유입 이전에도 타계관은 존재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 고분(古墳)과 무속신화 속에서 유추해 볼 수 있다. 무속신화에서는 타계에 대한 관념이 일정한 단계를 거쳐, 현재의 사후세계관으로 정립되었을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것은 시왕불교라 할 수 있다. 시왕불교 유입 이전, 죽음에 대한 신념체계는 일정한 단계를 거치며 발전하였으며 불교의 타계관을 수용하여 오늘날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수평적·과도기·수직적 타계관의 변화로 나누고, 이 안에서 또 다시 공간이동과 관련하여 세분화해보았다. 죽음에 대한 무속의 신념체계는 곧 타계에서의 또 다른 삶의 연속이라는 점을 제장에 구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사자에게는 타계로 가는 과정과 함께 환생 그리고 그곳에서의 삶 또한 중요한 의미를 부여받는다. 무속에서 타계는 곧 시왕이 존재하는 시왕세계로 인식되며, 이는 곧 재생과 이상세계로 신앙된다. 이것이 연화장 세계인 극락을 이상세계로 여기는 불교와는 다른 관점이다. 불교에서 시왕이 단계적으로 죄업을 심판하는 신으로 인식되는 것과 달리, 무속에서는 단순히 심판의 신이 아니라 죽은 자의 이상세계인 공간적인 영역을 지배하는 존재로 해석된다. 즉, 무속에서는 시왕에 대한 세계관이 보다 확장된 것으로 규명해 보았다. This research has purpose on examination of influential relationships with other religions and investigation of this phased development process. Shamanistic death rituals was affected by outlook of afterlife from China, so they have features of Gino Gui, which lead dead men to the other world. In Shamanism, the dead mens’ judges, Ten Kings are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gods. Ten Kings are analyzed to be introduced to Goryeo dynasty based on the worldviews of Taoism and Buddhism, and gave influences to Goryeo shamanism. China also had recognized the other world as the place with other various names which can go by shamasnistic Gino Gui before the idea of Ten kings was established. However, after the foundation of idea of Ten Kings, it was regarded that the place that the dead men could go was chosen through the judgement from Ten Kings. It seems that the view of the other world was present before the inflow of the idea of Ten Kings, and it can be inferred from ancient tombs and shamanistic mythologies. In shamanistic mythologies, the concept of the other world is interpreted to be gone through the constant steps and established to be the present form of the worldview of afterlife. Buddhism of Ten Kings was the most influential in these steps. Before the inflow of Buddhism of Ten Kings, belief system about the death developed through constant stages and became what it is today by accepting Buddhist view of the other world. This was discussed to be the change from horizontal stage to vertical stage. According to documents from Seosamuga(narrative shamanism),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f the other stage before the horizontal stage was raised. It is interpreted to embody the point that shamanistic belief system means continuation of life in the other world in the ritualistic cites. To dead men, not only the journey to the other world and reincarnation, but also lives in there are accorded important meanings. The other world in shamanism means the world where Ten Kings are and believed as resuscitation and ideal world. This is different perspective from Buddhism, which considers padma garbha loka dhatu(蓮華藏世界, ideal world inside a lotus flower),a heaven as the ideal type of world. Different with that Ten Kings are believed as the gods who judge the dead mens’ sin stage by stage in Buddhism, Ten Kings are regarded as the gods who rule the spatial area of dead mens’ ideal world. It means, the worldview of Ten Kings is more expanded in shamanism.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국립민속박물관en_US
dc.subject무속en_US
dc.subject죽음의례en_US
dc.subject타계관en_US
dc.subject시왕[十王]en_US
dc.subject시왕세계en_US
dc.subject극락en_US
dc.subject지옥en_US
dc.title무속의 타계관에 대한 통시적 접근 - 타종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en_US
dc.title.alternativeDiachronic Approach to Shamanistic view of the other world -Focused on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other religions-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47-
dc.identifier.doi10.35638/kjfs..47.202011.004-
dc.relation.page99-125-
dc.relation.journal민속학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최진아-
dc.relation.code2020039477-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dc.identifier.pidjulia7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CULTURAL ANTHROPOLOGY(문화인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