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 | 서해안지역 풍어제 무구가 갖는 의의와 특징 | 최진아 |
2018-08 | 현용준의 물질문화 연구: 제주도 무속을 중심으로 | 최진아 |
2018-12 | 문화현상으로서의 남도굿 연구 방향 | 최진아 |
2022-06 | Rethinking Urban Citizenship in the Post-COVID South Korean Context | Park Christian Joon |
2024-06 | Conceptualizing Intercultural Urban Heritage in the Age of K-Diaspora | Park Christian Joon |
2022-12 |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신석기시대 생업에 관한 연구의 성과와 방향 -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 | 최경철 |
2022-12 | 조영동고분군 출토 인골과 동물 뼈의 분석을 통한 고대 경산지역의 계층별 식단 복원 | 최경철 |
2023-12 | 금성당제 상징물의 문화사적 가치 부여 및 제언-금성당의 장소성을 중심으로- | 최진아 |
2023-12 | 조선 후기 인골의 체질인류학 및 골화학 분석을 통한 질병과 식생활 연구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 최경철 |
2024-03 | 구술사와 이주민의 도시 유산 | Park Christian Joon |
2024-03 | 조선시대 설행된 여제(厲祭)의 제장 연구 : 한성부(漢城府)의 여단(厲壇)을 중심으로 | 최진아 |
2024-03-27 | Enhanced dietary reconstruction of Korean prehistoric populations by combining d13C and d15N amino acids of bone collagen | 최경철 |
2011-11 | 도시 다문화 구역의 형성과 소통의 전개방식- 서울 이태원의 사례 | 송도영 |
2009-02 | 도시공간의 이슬람적 전형성에 관한 탈식민적 논의 | 송도영 |
2009-08 | 프랑스 이주민 거주구역의 인구성격과 공간변화 | 송도영 |
2011-06 | 한국 내 이슬람(할랄) 음식의 소비방식과 공급체계에 대한 문화적 해석 | 송도영 |
2014-06 | 국내 무슬림 이주자들의 생활영역과 초국적 성격 - 서울 이태원 출입 무슬림의 사례 | 송도영 |
2014-12 | The Configuration Of Daily Life Space For Muslims In Seoul: A Case Study Of Itaewon's "Muslims' Street" | 송도영 |
2021-06 | 박물관의 다층적 자료수집 방법에 대한 연구- 소사희망원 생활공간 자료수집 과정을 중심으로 - | 송도영 |
2023-03 | 강신표의 한국문화 이해와 대대문화문법(待對文化文法) | 송도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