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1 0

KBS의 공익 실현에 대한 시청자 평가가 수신료 정책 및 공영방송제도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KBS의 공익 실현에 대한 시청자 평가가 수신료 정책 및 공영방송제도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dience’s Evaluation on KBS Performance to Realize the Public Value and the Audience Perception on TV Licence Policy and the Necessity for Public Service Broadcasting System : Focusing on the Audience Perspective
Author
우형진
Keywords
공익; 공적가치; 지불의사금액; 수신료; 공공서비스미디어; public interest; public value; WTP(Willingness To Pay); TV license fee; public service broadcasting
Issue Date
2020-04
Publisher
한국방송학회
Citation
방송통신연구, v. 110, Page. 9-50
Abstract
본 연구는 KBS의 공익 실현에 대한 수용자 평가가 수신료 지불 의사 금액, 수신료 제도 개선 방향, 공영방송제도 필요성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미디어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공적가치를 재구성했다. 문헌 연구에 기초해서 KBS가 실현해야 할 공익을 수용자 주권, 수용자 복지, 소비자 효용의 3개 차원으로 구분했다. 분석 결과, 수용자 주권 차원의 경우, ‘방송의 독립성 확보’와 ‘자유로운 공론장 운영’, 수용자 복지 차원은 ‘다양성 구현’, 소비자 후생 차원은 ‘프로그램 품질’ 과 ‘개인적 욕구 충족’이 구성요인으로 나타났다. 수신료 지불의사 금액은 1,667.45원으로 나타났고, 소비자 후생 차원의 공익 실현 평가만이 수신료 지불의사와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수용자들은 온라인 수신료 신설과 수신료 세금화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지만, 수용자 주권과 소비자 후생 차원의 평가는 이들과 정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공영방송제도 필요성 인식의 경우, 소비자 후생 차원의 평가만이 정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이번 연구의 가장 큰 특징은 소비자 후생 차원의 수용자 평가가 공영방송 제도와 관련해서 본 연구가 설정한 종속변인 모두에 정적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 점이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융합 미디어 환경에서 공영방송 KBS의 서비스 목표와 내용을 정치적 가치 중심의 보편적 서비스에서 개인 소비자의 욕구 충족 중심으로 이동해야 함을 시사한다.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2457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499
ISSN
2288-3134; 1227-561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