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영만-
dc.contributor.author이혜미-
dc.date.accessioned2021-08-23T16:41:39Z-
dc.date.available2021-08-23T16:41:39Z-
dc.date.issued2021. 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128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419-
dc.description.abstract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의 빠른 확산으로 인해 모든 학교에서 온라인 수업이 시행되고 있다.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이 재택수업을 위해 전면적으로 활용된 적은 없었기 때문에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기존의 대면 수업보다 온라인 수업에서의 교수-학습 활동에 만족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대학 온라인 수업의 내실화와 질적 제고를 위해 기술적·환경적 요소 등 여러 요소와 맥락적이며 유기적으로 연결된 온라인 수업의 특성을 반영한 교수학습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온라인 수업이 포스트 코로나(post-Corona) 시대의 미래 교육으로서 제 역할을 하기 위해 현재 온라인 수업에 대한 실천적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의 교수학습 경험 중 온라인 수업으로 인해 역할 변화가 발생한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에서의 갈등 경험에 주목하여 현재 온라인 수업의 한계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분석 틀로 활용하였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온라인 수업 활동체계 분석 틀을 구성하고, 이후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하는 교수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교수자를 주체로 하는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활동체계를 도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온라인 수업에서의 교수자가 겪는 갈등과 그에 내재된 모순의 양상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모순은 ‘강의경험’, ‘온라인 수업의 구조적 한계’, ‘온라인 수업 경험의 부족’, ‘학교의 지원 부족’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온라인 수업에서 대학 교수자의 교수활동은 도구에 매개되는 활동이었으며, 사회적이며 집단적인 활동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온라인 수업은 내용 전달의 수단에서 학습 공동체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온라인 수업의 질적 변화는 대학교 교육에서 새로운 역할 및 기능을 재탐색는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는 현행 온라인 수업의 한계를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활동체계에 기반하여 활동체계 구성요소 간의 맥락적이며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온라인 수업의 질적 제고를 위한 실천적 이해의 토대가 되길 바라며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의미 있는 경험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에 도움이 되길 소망한다. | With the rapid proliferation of the novel coronavirus infection(COVID-19), all schools have started online classes. As there has never been a case of full-on online courses being implemented at the university level,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faced the less-than-satisfactory quality of learning through online tools.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online class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n the teaching experienc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ourses related contextually and organically to various factors, including techn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practical understanding of current online classes in order to build online offerings tha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uture of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online classes by paying attention to instructors' experience of difficulties in the online realm, where role changes have occurred as courses were taught online. To this end, this study used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s the analytical framework.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the framework of the online class activity system was establish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instructors who taught online classes at universities. This study was able to derive an online teaching activity system of university instructors with an emphasis on the instructors as subjects of the activity system and the problems they faced in online classes. Some inherent contradictions were derived from the study. These included "teaching experience," "structural limitations of online teaching," "lack of online teaching experience," and "lack of support from the school." Studies have shown that the teaching activities of university instructors in online classes were tool-mediated and retained a structure of social and collective activity. In addition, in resolving conflicts arising from the online classes, they have expanded from being a means of content delivery to an actual learning community. These qualitative changes in online classes have resulted in an opportunity to rediscover new roles and capabilities in un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current online classes in more depth, especially in terms of the contextual and organizati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activity system, based on the online teaching activity system of university instructors. I hope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basis for practical understand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online classes in the future and help to lay the foundation for meaningful experiences for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in online university course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의 갈등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관점에서-
dc.title.alternative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ollege Instructors‘ Conflict Experiences in Online Courses: Based on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혜미-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ye Mi Lee-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교육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