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7 0

Does Comparing Travel Experience Make Us Happy?

Title
Does Comparing Travel Experience Make Us Happy?
Other Titles
여행경험의 비교는 우리를 행복하게 만드는가? : 사회비교이론을 중심으로
Author
김수용
Alternative Author(s)
김수용
Advisor(s)
이훈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ravel is the experience that increases happiness the most. The peak experience of travel gives strong impression and lifts up one’s happiness. Furthermore, happiness gained from travel does not disappear immediately but lasts over two months. It is known that from expectations before actual travel to reflecting after coming back, the whole process of travel makes positive impact on happiness. One reason explaining significant role of travel experience on happiness is that it is less comparable than material goods. A number of studies demonstrate that hedonic adaptation is faster in purchasing material goods because it’s tangible and can be easily compared with other items. On the other hand, travel experience one has made is unique and original, cannot be replicated. However, numerous evidence suggest that people often make comparison about their travel experience as well. When people see other people’s travel post on social media, they show various emotional reactions such as envy or excitement. It is also known that interaction on social media causes more negative influence than real life interactions. Based on social comparison theory, it is natural that people compare their experience with others. It as a way of finding out ways to evaluate themselves. Social comparison theory suggests two directions of comparison; upper and downward, and two emotional outcomes; contrast and assimilation. This theory insists that one’s evaluation of oneself can be influenced by the outcome of comparison with others. Meanwhile, how travel contributes to happiness is explained with theory of subjective well-being. Subjective well-being is how a person subjectively evaluates and thinks of own life. It is subject because no objective standard such as income is on the table. The only factor that matters is people’s own subjective thoughts. Bottom up theory of subjective well-being suggest that when happy events occur, they sum up to bigger happiness, in the end forming happiness in life. As previous studies prove, happiness gained by travel does not disappear immediately but lasts for a long time. Studies also show that the domain happiness of trave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happiness in life; subjective well-be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social comparison in relationship between travel exper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Subjective well-being is happiness in life, which is expressed in the term global subjective well-being. On the other hand, happiness people feel during travel is rather restricted on the travel experience itself. Therefore, previous researches show that it is travel satisfaction, which is gained after contentable travel experience, that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ly, this study established hypotheses regarding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ravel experience, social comparison, travel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Study 1 and study 2 were conducted separately, each examining upper comparison and downward comparison, with identical method of analysis. Values in validity, reliability, model fit all passed criteria widely used in social science in both studies. Results of hypotheses test show that different dimensions of travel experience have different impact on social comparison. In the case of upper comparison, unique experience buffers negative outcomes of upper contrast while eudaimonic experience causes upper contrast. In the case of downward comparison, eudaimonic experience caused negative outcome of downward assimilation. It supports previous studies that eudaimonia in travel cannot exist alone and needs to be followed by hedonic aspects such as joy. In both study 1 and 2,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social comparison and satisfaction, and travel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 여행은 단일활동 중 행복을 가장 많이 증가시키는 활동이다. 여행의 절정 경험이 남긴 강한 인상은 즉각적으로 행복감을 증진시키며, 이러한 여행 행복은 여행이 끝난 후에도 즉시 사라지지 않고 두 달 이상 지속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여행 전 기대감부터 돌아온 후 여행을 추억하기까지, 여행의 총체적인 모든 과정이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행복에 있어 여행의 중요한 역할과 위치를 설명하는 시도 중 하나는여행은 경험 소비이며 이는 물질 소비에 비해 비교가 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실제로 물질재를 구매하는 것으로 얻은 긍정적인 감정에 대해서는 쾌락 적응이 더 빠르게 일어난다. 이에 반해 누군가가 만든 여행 경험은 독특하고 독창적이며, 복제될 수 없는 유일한 경험이다. 여행은 본질적으로 체험과 경험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회 비교를 통한 쾌락적응을 억제하는 요인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여행 경험에 대해서는 비교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음을 뜻하지는 않는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자신의 여행 경험과 타인의 여행 경험을 비교하는 행위는 흔히 발생한다. 또한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여행이 더 특별했다고 판단하거나 타인의 여행 경험을 부러워하고 질투하는 등 이러한 비교 행위는 자신의 여행 경험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준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소통이 활발해지면서 이러한 비교의 경향이 더 높아졌고, 많은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에는 본인의 가장 좋은 모습을 공유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소셜 미디어에 대한 상호작용이 실제의 상호작용보다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사회 비교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그들의 경험을 다른 사람들과 비교함으로써 스스로를 평가하고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찾는다. 자신의 능력이나 경험을 평가할 객관적인 기준이 없기 때문에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서 이를 찾는 것이다. 사회 비교 이론은 상향 비교와 하향 비교라는 두 가지 갈래를 제시한다. 이는 각각 자기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과 낮은 위치에 있는 사람과의 비교를 뜻한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두 가지 감정적 결과야 야기되는데, 이는 대조와 동화이다. 대조는 비교대상과 대비되는 본인의 상태에 초점을 맞추어 보이는 반응이고 동화는 본인이 비교대상과 같은 위치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보이는 반응이다. 사회 비교 이론은 스스로에 대한 평가가 다른 사람과의 비교 결과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여행이 행복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는 주관적 웰빙 이론으로 설명된다. 주관적 웰빙은 자신의 삶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인 평가이자 생각이다. 주관적 웰빙의 개념은 소득이나 삶의 조건 등 객관적인 기준에 기반하지 않고, 오로지 이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만을 측정한다. 주관적 웰빙 이론은 삶의 각 영역에서 행복한 사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결국 삶의 행복이라는 큰 범위의 행복으로 귀결됨을 시사한다. 선행연구들이 증명했듯이, 여행으로 얻은 행복은 즉시 사라지지 않고 오랫동안 지속된다. 여행 경험을 통해 형성된 여행 행복이 삶의 행복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행 경험과 주관적 웰빙 사이의 관계에서 사회 비교의 역할을 검토하는 것이다. 주관적 웰빙은 삶의 행복이며, 이는 포괄적(global) 주관적 웰빙이라는 용어로 표현된다. 반면에, 사람들이 여행 중에 느끼는 행복은 여행 경험에 대한 것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선행연구들은 여행 영역에서의 행복이 직접적으로 주관적 웰빙에 영향을 주지 않고, 긍정적인 여행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여행 만족이 주관적인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행 경험, 사회적 비교, 여행 만족 및 주관적 웰빙 사이의 인과 관계에 관한 가설을 세웠다. 상향 비교와 하향 비교를 구분하여 각각 연구 1과 연구 2로 설정했다. 연구 1과 연구 2는 동일한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설문 문항에서 타인의 여행이 본인의 여행보다 나았다고 생각했는지 혹은 더 좋지 않다고 생각했는지에 대한 답변에 따라 상향 비교 혹은 하향 비교의 샘플로 분류되었다. 두 연구에서 모두 타당성, 신뢰성, 모델 적합도의 수치는 사회과학에서 받아들여지는 기준을 충족하였다. 가설 검정 결과, 여행 경험의 각 요인에 따라 사회 비교에 주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상향 비교의 경우, 독특한 경험은 상향 대조의 부정적인 결과를 완충하는 반면, 유다이모니아적 경험은 상향 대조의 원인이 된다. 하향 비교의 경우, 유다이모니아적 경험은 하향 동화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이는 여행의 맥락에서는 유다이모니아적 경험이 그 자체로 독립적일 수 없고, 즐거움 등과 같은 헤도닉적 요소가 뒤따라야 한다는. 사회 비교와 여행 만족, 여행 만족과 주관적 웰빙 사이에 인과 관계는 연구 1과 연구 2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870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40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OURISM (관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