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2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현규-
dc.contributor.author이혜인-
dc.date.accessioned2021-08-23T16:28:41Z-
dc.date.available2021-08-23T16:28:41Z-
dc.date.issued2021. 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571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03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국제적 기준과 조화를 이루는 동시에 과학적 근거를 갖춘 기능성 표시를 통해 국내 유제품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능성 표시제도의 개선방안을 검토하고 구체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유제품 시장은 출생률 감소에 따른 분유 시장의 축소, FTA 이행에 따라 가격경쟁력을 갖춘 수입 유제품의 증가, 표시∙광고 규제강화로 인해 점차적으로 전체 시장의 규모가 줄어들고 있다. 반면에 연평균 증가율 73.3%이상으로 증가하는 유제품의 수입량과, EU와 미국, 호주와 뉴질랜드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 철폐로 인해 국내 유제품의 경쟁력은 더욱 약화될 전망이다. 이에 경쟁력 있는 유제품을 통해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어느때보다 절실한 실정이다. 최근 전세계 코로나 19감염자가 1억 7천만명(2021년 6월 2일 기준)을 넘어섰으며,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는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을 이끌고 있다. 그러나 2020년 해외 직구식품 중 건강식품이 70%를 차지할 정도로 국내 기능성 식품이 이러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국내 식품으로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하는 다양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하며, 제도적으로 이를 뒷받침할 수 있어야 한다. 제도적 개선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식품 등의 표시· 광고에 관한 법률’(이하, 식품표시광고법) 및 관련 하위 고시를 확인하였다. 국제적인 기준과의 조화를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표시광고법 하위 고시로 2020년 12월 ‘부당한 표시 또는 광고로 보지 아니하는 식품등의 기능성 표시 또는 광고에 관한 규정’(이하 기능성 표시제도)을 시행하였다. 다만, 기능성 원료 29종와 실증을 통한 일부 기능성(장건강, 위건강 등)만 허용하였으며, 위건강은 2025년부터는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기능성을 입증한 후에 일반식품의 기능성 원료로 재차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검토를 받아야한다. 이는 기존에 기능성이 입증된 일부 유제품에 대한 표시를 금지하여 관련 산업계의 발전에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국내의 제도를 검토하며 해외 선진국의 기능성 표시제도를 검토하였다. 해외 선진국의 기능성 표시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기능성 표시를 허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제도가 유사한 일본의 기능성 표시제도는 실증에 근거하여 정부의 검토 하에 허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본의 기능성 표시식품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유제품의 기능성을 가장 많이 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은 2020년 12월 시행된 일반식품의 기능성 표시제도를 검토하고, 국내외 기능성 유제품 표시사례을 함께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며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단계별 기능성 표시제도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차별성이 있다. 유제품의 기능성 표시는 국내 유제품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필요한 대책이라고 판단된다. 영업자의 과학적 근거 입증을 통해 유제품에 기능성 표시를 허용할 필요성이 있으며, 정부의 기능성 표시에 대한 사전검토 및 승인 절차를 통해 소비자를 허위∙과대광고에서 보호할 수 있다. 기능성을 가진 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높이고, 소비자에게 유제품의 기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산업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In this paper, the improvement plan of the functional labeling system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dairy products through functional labeling with scientific evidence while harmonizing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was reviewed and specific improvement plans were presented. The domestic dairy market is gradually shrinking due to the shrinking of the milk powder market because of the decrease in the birth rate, the increase of imported dairy products with price competitivenes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FTA, and the strengthening of labeling and advertising regulations. On the other hand,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dairy products is expected to further weaken due to the import volume of dairy products increasing at an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over 73.3% and the elimination of tariffs on imports from the EU, the US, Australia, and New Zealand. It is more urgent than ever to revitalize the dairy market through competitive dairy products. Recently, the world is going through many changes due to COVID-19. The fear of the virus is driving consumer health concerns. However, in 2020, health foods accounted for 70% of overseas direct purchase foods, so domestic functional foods are not meeting the needs of consumers. Therefore, it should be possible to develop various functional foods that satisfy the needs of consumers as domestic foods, and it should be able to support this systematically. To review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the ‘Food Labeling and Advertising Act’ and related sub-regulations were confirmed. To harmoniz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adopted the 'Regulations on Functional Labeling or Advertising of Foods That Are Not Considered as Unfair Labels or Advertising' in December 2020 as a sub-regulation of the Food Labeling and Advertising Act. However, only 29 types of functional ingredients and some functionalities through substantiation of claims were allowed. From 2025, gastric health must be reviewed by the MFDS again as a functional raw material for general food after it has proven its functionality as a raw material for health functional food. This is an obstacle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by prohibiting the labeling of some dairy products with proven functionality. In addition, the domestic functional labeling system was reviewed, and the system of developed countries was reviewed. It was confirmed that functional labeling in developed countries is permitted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and Japan's functional labeling system, which has a similar system to Korea, is permitted under the government's review based on empirical evidence. In addition, Japanese functional labeling food cases were investigated. This paper differs from the existing related previous studies because the Korean functional labeling system for general food which implemented in December 2020, has not been studied yet, and propos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functional labeling system in specific stages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functional dairy labeling cases. Functional labeling of dairy products is judged to be a necessary measure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dairy products. It is necessary to allow the functional labeling of dairy products through the proof of scientific basis of business operators, and consumers can be protected from false and exaggerated advertisements through the government's preliminary review and approval process for functional labeling. It is expected to increase consumer interest in functional dairy products, provide consumers with information on the functionality of dairy products,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industry.-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기능성 표시제도에 관한 연구 : 유제품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Functional Labeling System: Focusing on Dairy Product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혜인-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Hye I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식품영양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FOOD & NUTRITION(식품영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