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0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류웅재-
dc.contributor.author장호추-
dc.date.accessioned2021-08-23T16:25:19Z-
dc.date.available2021-08-23T16:25:19Z-
dc.date.issued2021. 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417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958-
dc.description.abstract한국 대중문화의 산물인 K-Pop이 한국과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에서까지 주목을 받으며 특정한 문화 현상을 만들고 있다. 걸그룹들의 활약도 주목할 만하다. 그런데 K-Pop 걸그룹은 팀에 따라서 다양한 수용자 집단을 형성한다. 과거에 남성 팬이 걸그룹을 좋아하는 경우가 많았고 걸그룹의 남성 팬을 대상으로 연구들이 이루어졌는데 요즘 여성 팬이 선호하는 걸그룹이 많이 나타났다. 여성 팬이 걸그룹 앨범을 구매하고 공연 티켓을 예매하는 비율이 80% 이상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여성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걸그룹 문화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본 연구가 여성들이 선호하는 걸그룹에 주목하는 이유는 여성 수용자들이 페미니즘 지식을 획득하고 인터넷 통해서 사회와 미디어에서 나타난 젠더의 문제를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소통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여성 수용자들이 대중문화 산물인 걸그룹을 수용하고 소비하는 정서, 그들의 내면에 있는 욕망을 탐색해보려고 했다. 본 연구는 텍스트 분석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서 여성들이 선호하는 걸그룹의 외적 이미지, 젠더 이미지, 그리고 여성 수용자들이 수용하는 과정에서 내적인 정서를 탐색해봤다. 텍스트 분석의 결과, 여성들이 선호하는 걸그룹들은 고전적인 이미지보다는 이중적이나 독립적인 이미지로 더 자주 등장한다. 물론 시장 전략 때문에 그들이 고전적인 여성 이미지로 활동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다수가 아니다. 혹은 과거에 하지만 지금은 더 진보적인 이미지로 활동한다. 심층 인터뷰의 결과 여성 수용자들이 비전통적이고 동질화되지 않은 걸그룹에 호감 갖게 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걸그룹들의 작품이 전달하는 메시지는 주로 삶의 주체로서의 여성의 능동성, 그리고 타인의 고정관념을 인식하지 않는 것이다. 여성 수용자는 걸그룹 미디어에서 재현된 외모보다 자신감, 용감함 등 성격을 동경하는 경향이 존재하다. 또한 걸그룹의 작품을 접한 계기로 페미니즘 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경우도 있다. 결론적으로 최근 여성들이 즐기는 걸그룹 문화는 기존에 남성들이 즐기는 걸그룹 문화와 다르다. 여성들이 선호하는 걸그룹들은 다양한 컨셉트로 활동하지만 여성들이 선호하는 여성의 외적과 젠더 이미지는 고전적 보다는 독립적이다. 여성 수용자들은 걸그룹의 자신감과 당당함을 좋아하고 동경한다. 또한, 여성 아티스트의 작품 속 진보적인 메시지는 여성 수용자를 계몽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K-Pop, a product of Korean pop culture,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from Korea and Asia, and now creating a specific cultural phenomenon around the world. The activities of girl groups are also noteworthy. However, depending on the team, K-Pop girl groups form a diverse group of fans. In the past, there were many girl groups favored by male fans, but recently, there many girl groups favored by female fans showed up. For some girl group, the rate of female fans purchase girl group albums and reserve tickets for performances is more than 80%. As such,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girl groups in which women actively participate.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es on girl groups favored by women is that female acquire feminist knowledge and actively communicate about the problems of gender in society and media throughout the Internet. Based on this social background, I tried to explore the emotions of female consumers’ consuming on girl groups, which are a product of popular culture, and their inner desires. Through text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explored the appearance images, gender images of girl groups favored by women, and female consumers’ internal emotions in the process of consuming girl groups. As a result of text analysis, girl groups preferred by women appear more often as dual or independent images than classical images. Of course, because of their market strategy, they act as classical female images, but not many of these cases. Or it used to be classical but now they work with a more progressive image. In-depth interviews confirmed that female consumers became fond of non-traditional and non-homogeneous girl groups. The message that these girl groups' works convey is mainly about women's activism as subjects of life and not to recognize stereotypes of others. Female consumers tend to admire girl groups’ personality, such as confidence and bravery, rather than their reproduced appearance in media. 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female consumers learn feminism related knowledge through girl groups' works. In conclusion, the recent girl group culture enjoyed by women is different from the girl group culture enjoyed by men. Although girl groups preferred by women work with various concepts, their external appearance and gender image are more independent than classical. Female consumers like and admire the girl groups’ confidence and independence. In addition, the progressive message in the works of female artists serves to enlighten female consumers related with feminism. Key word: K-Pop, New Hallyu, girl group, female, female representation, feminism, the circuit of culture, female consumer-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걸그룹의 미디어 재현과 여성 팬의 수용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Media Representation of Girl Group and Female Fans’ Consumption: Focusing on the K-POP 3rd Generation Girl Groups’ Music Video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장호추-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ZHANG, HAOSHU-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A COMMUNICATION(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