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5 0

온라인 부모교육을 기반으로 한 실천공동체(CoP)의 학습 과정 사례연구

Title
온라인 부모교육을 기반으로 한 실천공동체(CoP)의 학습 과정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the learning process of a Community of Practice based on online parental education
Author
서주현
Alternative Author(s)
Seo, Ju Hyeon
Advisor(s)
유영만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부모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강화되면서 그에 대한 학습 욕구가 증가하고 관련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서 행해지는 부모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어려워지면서 온라인 부모교육에 대한 관심이 향상되고 있다. 비대면 학습이 주를 이루는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부모교육 매체로써의 비중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온라인 부모교육은 시공간 제한이 적으며 각자의 욕구에 맞는 학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학습내용과 현실에서 경험하는 맥락을 연결하기 힘들고 인간적 관계를 통해 실제 양육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지적된다. 따라서 구성원들 간에 긴밀히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학습 조건과 문화를 만들어줄 필요가 있다(유영만, 2002b). 지식은 학습 동료 간의 만남과 대화 속에서 창조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통의 관심사를 갖고 서로 상호작용하고 학습하며 공통된 접근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 가는 ‘실천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가 온라인 부모교육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것과 동시에 그 안에서 진정한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3년간 부모교육에 대한 공통된 목적을 갖고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D유치원 학부모 모임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천공동체로서 함께 온라인 부모교육을 학습하는 과정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경기도지식(GSEEK) 경기도 무료 온라인 평생학습’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부모교육 프로그램 ‘자녀의 행복을 부르는 핑퐁토크’를 4회에 걸쳐 학습하고 그 내용이 실천공동체를 통해 맥락적으로 이해되며 지식이 확장되는 과정을 발견하였다. 22개의 유의미한 개념을 찾아 이 중 중복되는 것을 제외하고 범주화 하여 4개의 중심의미와 9개의 하위범주로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온라인 부모교육을 기반으로 한 실천공동체의 학습 과정에서 ‘지식의 재구성’, ‘정서적 위로’, ‘재성찰’, ‘동기부여’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실천공동체는 구성원들과 대화하며 온라인 부모교육에서 얻은 지식을 재구성하고 재성찰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갔다. 그리고 다른 구성원들에게 위안을 얻고 양육과 관련해 긍정적인 자극을 주고받았다. 연구결과 이러한 실천공동체의 학습을 가능하게 한 촉진요인은 ‘유대감’, ‘구성원의 조건’, ‘성찰기반 제공’으로 나타났다. 유대가 있어 신뢰가 형성되고 구성원과 자녀에 대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양육 조건이 유사하였기에 더욱 폭넓게 공감하고 대화하였다. 또한 자신의 양육 실천 경험이나 학습 경험, 양육 고민을 공유함으로써 문제 해결을 촉진하고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반면 온라인 부모교육을 기반으로 한 실천공동체의 학습을 저해하는 요인은 ‘학습의 조건’, ‘구성원의 조건’, ‘유대감’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학습일정을 조율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대화 주제가 모호하고 발언권이 고르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공통의 양육 조건은 구성원끼리 비교 대조가 쉽다는 단점으로도 작용하였으며 지속적 관계 유지 하에 자녀에게 붙을 수 있는 부정적 꼬리표에 대한 우려가 드러났다. 이렇듯 실천공동체의 구성원들은 대화를 통해 명시적 지식을 맥락적이고 성찰적인 지식으로 받아들였으며 실천공동체의 구성 요소인 호혜적 관여와 공동자산이 촉진요인이자 저해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임 구성, 학습의 효율적 수행 방법, 온라인 부모교육 개선에 관한 다양한 방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를 시작으로 온라인 부모교육 영역에서 실천공동체의 대안적 역할과 활용 방안이 모색되고 실천공동체와 연관한 학습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77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17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