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4 0

생애전환기 세대를 위한 무용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Title
생애전환기 세대를 위한 무용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Author
성혜경
Advisor(s)
김운미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사회는 평균기대 수명이 증가하면서 생애주기 기간이 연장되었고, 중년기가 길어지다 보니 개인이 인생을 살아가면서 쌓아진 역사와 발달단계 및 관계의 흐름 등을 모두 고려한 생애전환기에 관심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이에 현 시대를 살아가는 생애전환기 세대가 가진 고유한 특성에 관련한 다양한 국가 정책 및 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18~2022년‘문화예술교육 5개년 종합계획’으로 수요자 중심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을 추진하고 생애전환기 세대(50~64세)를 위한 지원을 강화한다고 하였다. 또한‘생애전환 문화예술학교 지원사업’을 통해 생애전환기 세대의 발달 특성에 맞는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 중 무용교육과 관련한 연구·지원은 미비한 실정이지만 신체적, 환경적 변화가 있는 중년기에 신체활동을 통한 건강한 삶과 자기계발 및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 있는 무용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앞으로 생애전환기 세대에게 양질의 무용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생애전환 문화예술학교를 살펴보고 프로그램 분석 및 개선안을 통해 이를 토대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에서는 생애전환기의 개념 및 대상 기준을 정의하고자 하였으며 생애전환기 세대의 인구, 사회, 문화적 특성을 분석하여 맞춤형 무용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생애전환 문화예술학교를 중심으로 현황 및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기존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및 개선안을 통해 무용교육 정책 및 프로그램 발전 방안을 강구하고자 했다. 무용ㆍ연극 융복합 프로그램과 4차 산업혁명시대에 걸맞게 문화예술과 디지털 표현의 복합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사했으며 국가공식 홈페이지 및 공공기관에서 발표한 결과 보고서를 토대로 무용교육의 효과성 및 다양한 장르와의 융합교육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향후 생애전환기 세대를 위한 무용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생애전환기 세대의 인구적, 사회적, 문화적 특성과 흥미를 고려하여 그들이 바라는 교육적 요구와 문화적 욕구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무용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생애전환기 무용교육 참여자들에게 질적으로 향상된 교육 환경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정책적 측면에서 지원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무용강사는 교육의 대상자를 고려하여 참여자 간의 교감, 소통 증진, 참여자의 특성 및 욕구에 맞는 적절한 대응 등 이에 대한 선험적 지식이나 이해가 수반된 상태에서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생애전환기를 세대를 위한 무용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생애전환기 세대의 특성과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지원사업인 생애전환 문화예술학교에 대해 알아보고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무용교육의 발전 방안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향후 생애전환기 세대에 대한 관심 확대로 인한 문화예술교육의 사업 활성화와 참여자들의 요구와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연구ㆍ개발되기를 조망한다. 주요용어 : 생애전환기, 생애전환 문화예술학교, 무용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48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07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