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명순-
dc.date.accessioned2021-02-16T00:01:00Z-
dc.date.available2021-02-16T00:01:00Z-
dc.date.issued2002-12-
dc.identifier.citation대한교통학회지, v. 20, no. 7, page. 23-29en_US
dc.identifier.issn1229-1366-
dc.identifier.issn2234-4217-
dc.identifier.uri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50028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8176-
dc.description.abstract일반적으로 4지 또는 3지의 교차로가 설계 · 운영되고 있으나 적지 않게 5지 또는 그 이상의 원형 신호교차로가 실질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접근로 수에 따른 교차로 형태별 분류에 의하면 5지 이상의 교차로에서의 상충지점의 수는 4지 교차로의 그것보다 월등히 높아 설계지침에서도 4지 이하의 교차로를 설계할 것을 권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5지 원형 신호교차로에서도 그 상충지점 수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5지 신호교차로의 신호 설계는 교통소통이 아닌 교통안전측면에서 신호현시 순서 및 길이가 결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또 그러한 현시순서는 교차로 내 원활한 교통의 흐름을 심각한 수준으로 방해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5지 신호교차로의 안전을 고려한 현시순서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울산광역시에서 운영중인 공업탑 5지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현장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신호시간 설계모형은 TRANSYT-7F를 적용했다. TRANSYT-7F에서의 최적 신호현시의 길이를 토대로 기본적으로 “한 현시에 2개 교통류의 이동”원칙에 따라 재배열하였다. 제안된 방법으로 보정된 신호현시 순서 및 길이를 사용하여 모의실험한 결과, TRANSYT-7F에서 제시한 최적 신호현시 순서 및 길이를 적용한 것에 비하여 평균 6.2%지체도 증가가 있었으나 교차로 내 상충수를 61.5% 줄이는 결과를 도출하였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대한교통학회en_US
dc.subject5지 신호교차로en_US
dc.subject신호현시en_US
dc.subject교통안전en_US
dc.subjectTRANSYTen_US
dc.subject상충점en_US
dc.subject지체도en_US
dc.title5지 신호교차로에서의 안전을 고려한 신호현시 설계en_US
dc.title.alternativeSafety Enhanced Signal Phase Sequence Design of a Rotary with Five Leg Intersection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journal대한교통학회지-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재완-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진태-
dc.contributor.googleauthor장명순-
dc.relation.code2012100279-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
dc.identifier.pidmschang-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공학대학) >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교통·물류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