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8 0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개념 명확성의 이중매개 효과

Title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개념 명확성의 이중매개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concept Clarity
Author
전유나
Alternative Author(s)
Jeon, Yu na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개념 명확성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 288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사회부과 완벽주의 척도,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변인들의 상관을 분석하고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간접효과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사회불안,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개념 명확성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불안과 유의한 정적 상관, 자기개념 명확성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사회불안과 유의한 정적 상관, 자기개념 명확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자기개념 명확성은 사회불안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개념 명확성은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개념 명확성은 이중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사회불안으로 상담센터를 내방하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은 대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상담 개입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48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39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