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2 0

북한산 국립공원의 관광매력속성과 가치, 만족, 친환경 태도 및 행동의도의 관계 연구

Title
북한산 국립공원의 관광매력속성과 가치, 만족, 친환경 태도 및 행동의도의 관계 연구
Other Titles
The Research of Relationships among Attraction Attributes,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Pro-environmental Attitude and Behavior in Bukhansan National Park: Focusing on VSAB Model
Author
박정연
Alternative Author(s)
Park, Jeong Yeon
Advisor(s)
김남조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관광지에서의 친환경 행동이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등산은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활동 중에서 사람들의 참여 비중이 가장 크며,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든 계층이 제약 없이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등산은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관광활동이기 때문에 목적지의 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등산지에서의 친환경 행동을 연구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자연 관광지 관리의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북한산 국립공원의 경우 수도권에 위치한 등산지로써 국내에서 가장 많은 탐방객이 방문하는 장소이며, 불법 및 무질서 행위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장소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북한산 국립공원을 연구대상지로 하여 국내 등산지, 특히 국립공원 탐방객의 친환경 태도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산 국립공원 탐방객의 친환경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기 위하여 가치-만족-태도-행동(VSAB) 모형을 사용하였다. VSAB 모형은 가치-태도-행동(VAB)이론에서 만족변수를 추가한 모형으로 그 설명력이 인정받고 있다. 또한, 지각된 가치의 선행변수로 관광매력속성을 설정하였다. 추가적으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추구편익에 따른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심도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북한산 국립공원에서 이루어지는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특히 등산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관광매력속성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VSAB 모형을 설명하기 위해 각각 지각된 가치, 만족, 태도, 행동의도에 대하여 정의하였다. 또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추구편익에 대해서도 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도출하였고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북한산 국립공원을 방문한 탐방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29부의 응답이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관광매력속성 중 접근성과 자연매력성이 감정적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편의성은 감정적 가치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접근성과 자연매력성은 기능적 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한편, 온라인 정보성과 접근성, 자연매력성은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편의성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 감정적 가치에는 접근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기능적 가치와 만족에는 자연매력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가치는 만족과 친환경 태도에, 만족은 친환경 태도에, 그리고 친환경 태도는 친환경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VSAB 모형에 따른 인과관계를 밝힐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시행된 군집분석에 의하면,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따라 각각 헌신적 참여자, 활동적 참여자, 일반적 참여자, 수동적 참여자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이에 따른 변수간 차이가 도출되었다. 또한, 추구편익에 따라서도 다목적 추구형, 휴식과 자연추구형, 단순여가 참여형, 유대추구형의 4개의 군집으로 나뉘었으며 각각 특징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시사점으로는 VSAB 모델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선행연구를 뒷받침하였으며, 특히 관광매력속성을 선행변수로 사용하여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또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추구편익에 따른 군집분석을 통하여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분야에서의 시장 세분화 연구에 기여하였다. 실무적인 시사점으로는 먼저, 북한산 국립공원의 접근성과 자연매력성의 보완과 편의성과 관련된 인공시설 재설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한편, 군집분석을 통해 도출된 수동적 참여자와 단순여가 참여형에 대한 집중적인 마케팅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넓은 지역에 걸쳐 위치한 북한산 국립공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탐방객 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온라인 설문조사의 실시 등으로 인한 일반화의 한계점을 갖고 있다. 또한, VSAB의 구조모형 간의 관계를 보지 않았기 때문에 VAB모형과의 설명력 차이를 설명할 수 없었다. 따라서 향후에는 응답자 표집방법과 연구방법에 차이를 둔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관련된 연구의 확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s outdoor recreation activities increase, pro-environmental behavior at tourist sites is now becoming important. In particular, mountaineering has the most highest participation rate in Korea, because all stratum regardless of age or gender can participate without restrictions. Since mountaineering is based on the natural environment, management of destinations has been thought of as a central issue in tourism research fie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the implications of sustainable natural tourism management by studying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mountain park. Bukhansan National Park i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is the most visited national park in Korea,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the place where illegal and disorderly acts occur most frequently. To this end, in this study,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pro-environmental attitude and behavior of visitor to the national park, by using Bukhansan National Park as a research area. This study used the Value-Satisfaction-Attitude-Behavior (VSAB) model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tourists in Bukhansan National Park. The VSAB model is an extended model of value-attitude-action (VAB) theory added 'satisfaction', and its explanation power is identified. In addition, tourist attractiveness was used as a leading variable of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cluster analysis based on recreational specialization and benefit sought.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research was conducted about outdoor recreation, especially mountaineering, and tourist attractiveness, VSAB model, recreational specialization and benefit sought. Based on this,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proposed and questionnaire was organize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ourists who visited Bukhansan National Park, and a total of 329 valid response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As a results of analysis, it showed that accessibility and natural attr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value, while conveni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value. In addition, accessibility and natural attr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unctional values. Meanwhile, online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natural attr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hile convenience had a negative effect. Accessibilit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emotional value, and natural attrac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functional value and satisfaction. Perceived valu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pro-environmental attitudes, and pro-environmental attitudes affects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Additionally,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recreational specialization classified each as a cluster of committed participants, active participants, casual participants and passive participants, resulting in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variables. In addition, using benefit sought there were four clusters: multi-purpose sought type, relaxation and natural sought type, simply leisure sought type, and social bonding sought type, and each have difference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the results supported the preceding study expla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VSAB model, and in particular, the tourist attractiveness was used as a leading variable to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expansion. In addition, it contributed to research on market segmentation in outdoor recreation field through cluster analysis based on recreational specialization and benefit sought. As a practical aspects, it was suggested that the accessibility and natural attraction of Bukhansan National Park should be complemented and the need for the redesign of artificial facilities related to convenience. On the other hand, it suggested the need for intensive management for passive participants and simply leisure sought types derived through cluster analysis. This study has limitation because as a research site, it did not covers the entire area Bukhansan National Park, and there may be differences among visitors.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of generalization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survey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explanation power between the VAB model and the VSAB model could not be explained in this study. Therefore, future studies may need to conduct studies with differences on methods of sampling respondents and the methods of research.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47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50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OURISM (관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