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2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재찬-
dc.contributor.author이현정-
dc.date.accessioned2020-08-28T17:06:49Z-
dc.date.available2020-08-28T17:06:49Z-
dc.date.issued2020-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336-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471en_US
dc.description.abstract다문화 사회의 도래와 함께 다문화 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을 위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문학 교육에서도 다문화 사회에 대한 교육적 대응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에 따라 이루어졌다. 첫째, 문학 교과에서 현재 다문화 교육이 어떠한 지향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둘째, 현재 국내의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과 다문화 교육의 방향에 비추어, 다문화 교육을 위해 문학 교육에서 논의하고 변모해 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국내와 국외의 다문화 교육의 현황과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동화에서 공존으로,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서 다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으로 다문화 교육의 방향이 변화해 온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현재 학교 현장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세계시민교육과 다문화 교육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다문화 교육에 대한 근거가 될 만한 내용들이 충분히 서술되어 있지만, 2015 개정 문학 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 교육 내용을 교과 내용에 반영하는 것에 소극적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문학 교과서에 양적으로 적은 수의 다문화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다문화 작품들이 소단원 중심 제재로 활용된 경우도 적어 문학 교과서에서 다문화 작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 작품들의 내용은 이주민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제시하는 작품이 많았으며, 이주민에 대한 편견이 반영된 작품들도 수록되어 있어 이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015 개정 문학 교과서의 다문화 교육 관련 학습 활동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 작품에 대한 감상을 ‘다문화주의’로 확장하거나 작품 속 민족적 갈등 상황을 실제 의사소통 상황으로 활용한 경우 등 다문화 교육을 문학 교과에 반영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문화 작품들 중에는 감상 전 활동 제재 등으로 활용된 경우가 많아 작품에 대한 학습 활동이 다소 포괄적이며, 다문화 사회에 대한 실제적 문제의식이 결여되어 있는 경우도 확인할 수 있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문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의 다문화 교육 내용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in the Literature Curriculum and Textbook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현정-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Hyunj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국어교육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국어교육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