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4 0

대상포진 피부 병변에 국소 재조합 사람 표피성장인자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와 국소 항생제 도포 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Title
대상포진 피부 병변에 국소 재조합 사람 표피성장인자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와 국소 항생제 도포 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f effectiveness between topical application of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and antibiotics on herpes zoster skin lesions
Author
강호송
Alternative Author(s)
Kang Ho Song
Advisor(s)
김정수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대상포진은 varicella-zoster virus 의 재활성화로 군집화된 수포성 발진을 보이는 질환이다. 대상포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병변은 개인의 면역상태와 치료시기에 따라 병변의 깊이와 범위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합병증으로 포진후 동통, 운동근 마비, 감각 이상, 흉터 등이 발생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흉터에 대해서는 그 중요성이 낮게 인식되고 있다.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는 EGF 수용체 활성화를 통하여 표피각질형성세포의 증식, 생존, 이동을 촉진하는 작은 펩티드이며, 섬유모세포,혈관내피세포에도 발현되어 있어 콜라겐 합성을 증식시키는 기전을 통해 상처회복 촉진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는 2018년 8월부터 2019년 8월까지 13개월 동안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피부과를 방문한30명의 대상포진 환자를 대상으로 재조합 사람 표피성장인자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도포의 유효성을 기존 항생제 연고 도포와 비교하여, 재조합 사람 표피성장인자 국소 도포제가 대상포진 피부 병변의 개선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그 결과 피부 병변 평가 지수인 Vancouver Scar Scale (VSS) 는 4주차 방문 때 EGF 도포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VSS 의 혈관성(vascularity)과 유연성(pliability) 지표에서 EGF 도포군 환자의 호전 정도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감염 및 치료를 중단할 정도의 중대한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대상포진 병변에 EGF 를 함유한 제품이 피부병변의 개선에 효과적이며 합병증이 적어 대상포진 국소 도포제로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치료법이라 생각된다; Comparative study of effectiveness between topical application of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and antibiotics on herpes zoster skin lesions Background: The effectiveness of topical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hEGF) has been reported in treating diabetic foot ulcers, surgical wounds, burns and scars. EGF binds to EGF receptors resulting in cellular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opical rhEGF ointment compared to topical mupirocin in healing Herpes zoster (HZ) lesions. Methods: 30 patients diagnosed with typical HZ were recruited from August 2018.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of topical mupirocin and topical rhEGF ointment. The HZ lesions were evaluated with Vancouver scar scale (VSS) at the initial visit, 1st, 2nd and 4th weeks. Results: Total recruited patients (n=30) included male (n=16, 53%), female (n=14, 47%), and mean age was 58.2. The proportion of a 50% reduction in VSS score (VSS 50) at 2nd wee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hEGF group (15.4% vs 50%, respectively, p=.047). Complete resolution rate (VSS=0, 1) at 4th week was also high in rhEGF group (9.1% vs 50%, p=.03). Conclusions: Topical rhEGF revealed more rapid treatment response and anti-scarring effect compared to topical mupirocin in HZ lesion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16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4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