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2 0

A cadaveric study on the anatomical relationship between cranial surface landmarks and transverse, sigmoid sinuses in the occipital and temporal bones of the Korean cranium

Title
A cadaveric study on the anatomical relationship between cranial surface landmarks and transverse, sigmoid sinuses in the occipital and temporal bones of the Korean cranium
Author
방지훈
Alternative Author(s)
방지훈
Advisor(s)
고용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목적 구불정맥동 뒤 접근법은 후두와 및 소뇌교각부의 여러 종양 및 혈관질환에서 수술적 방법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는 대표적인 접근법이다. 하지만 환자의 피부에서 수술 부위를 예측하기는 어렵다. 여러 연구를 통해 수술적 접근법의 해부학적 주요지표에 대해 보고되어 있지만, 한국인의 두상에 대해 적합한 연구 결과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두개지수와 함께 해부학적 지표간의 측정치를 통한 이상적인 구불정맥동 뒤 수술적 접근법의 기준을 정립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신경항법장비 사용이 불가한 경우, 한국인의 두상에서 정맥동 손상을 피할 수 있는 ‘열쇠구멍’을 확인하고자함에 있다. 대상 및 방법 국내에서 기증된 해부용 사체 13구를 대상으로 삼아 각 해부용 사체의 우측과 좌측의 가로정맥동과 구불정맥동의 각각의 거리를 해부학적 주요 지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해부용 사체의 두개지수에 따라 측정값들을 통해 정맥동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안전한 수술적 접근을 위한 ‘열쇠구멍’ 위치 확인을 위해 가로정맥동 구불정맥동 접합부와 해부학적 주요지표 간의 관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들을 이전에 발표된 문헌들과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두개골 지수와 가로정맥동 및 구불정맥동의 너비는 각각 84.06 ± 0.06 mm 와 10.29 ± 2.19 mm 및 8.57 ± 1.63 mm (오른쪽), 8.19 ± 2.11 mm 및 7.18 ± 1.37 mm (왼쪽) 이었다. 가로정맥동 및 구불정맥동의 사이각은 105.69° (오른쪽) 및 111.0° (왼쪽) 이었다. 가로정맥동 구불정맥동 접합과 헨리 돌기와 후두융기을 이은선 (SH-INI) 사이의 각도는 8.15° (오른쪽)와 9.07° (왼쪽) 이었다. 가로정맥동 구불정맥동 접합과 이위홈 (digastric notch)을 이은선과 구불정맥동의 후방경계 사이의 각도는 12.77° (오른쪽)와 14.84° (왼쪽) 이었다. 헨리 돌기와 후두융기를 이은선에서 가로정맥동 구불정맥동 접합까지의 평균 거리는 각각 34.65 ± 3.28 mm 및 3.87 ± 0.88 mm 이었다. 별모양점(asterion)에서 가로정맥동 구불정맥동 접합까지의 평균 거리는 하방 6.77 ± 2.31 mm 및 외측 7.37 ± 2.37 mm 이었다. 별모양점의 위치는 가로정맥동 구불정맥동 접합에서 각각 우측 10개 (76.9%),좌측 9개 (69.2 %)로 나타났다. 가로정맥동 구불정맥동 접합 각도와 두개골 지수 사이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였다 (P < 0.05). 구불정맥동의 너비 및 나이는 가로정맥동의 너비와의 관계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보였다 (각각 P<0.001, P<0.05). 결론 한국인에서, 기술된 해부학적 주요지표에 의해 예측되는 구멍의 위치는 구불정맥동 뒤 수술 접근법을 위한 가로정맥동 구불정맥동 실제 접합의 위치와 불일치함이 확인되었다. 한국인의 두개골 모양을 고려하여, 헨리 돌기는 후두와 수술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고, 해부학적 관계를 시사하는 최소 편차를 갖는 표면 주요지표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구불정맥동 뒤 접근수술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였다. 가로정맥동 구불정맥동 접합을 확인하기 위한 ‘열쇠구멍’은 헨리 돌기로부터 후방 35mm, 상방 4mm에서 확인되었다.; Objective: The retrosigmoid approach is a representative approach that has been used as a surgical method in various tumor and vascular diseases of the posterior fossa.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location of surgical approach on the patient’s skin.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major anatomical landmark of the surgical approach, no suitable results have been reported for the Korean cranium.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ideal retrosigmoid approach through anatomical measurements along with the Korean's cranial index. Thu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 ‘key-hole’ in the Korean cranium that can avoid dural-sinus injury where in neuronavigation systems are unavailable. Methods & Materials: A descriptive anatomical study was conducted using thirteen formalin-fixed cadaveric skulls. Distances to the transverse and sigmoid sinuses on the right and left sides were bilaterally measured using fixed anatomical surface landmarks. Measurements were standardized according to the cranial indices of each skull.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anatomical landmarks and transverse sigmoid junction was measured to confirmed the ‘keyhole’ for saftey surgical approach.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previous literature. Results: Thirteen adult cadaver skulls were bilaterally studied. The mean cranial index and width of transverse and sigmoid sinuses were 84.06 ± 0.06 mm and 10.29 ± 2.19 mm and 8.57 ± 1.63 mm (right), and 8.19 ± 2.11 mm and 7.18 ± 1.37 mm (left), respectively. The angle of the T/S junction was 105.69° (right) and 111.0° (left). The angle between the T/S junction and the spine of Henle to inion line (SH-INI) was 8.15° (right) and 9.07° (left). The angle between the inferior margin of sigmoid sinus and the ‘digastric notch-T/S junction’ line was 12.77° (right) and 14.84° (left). Mean distances from the SH-INI to the T/S junction and the SH to the T/S junction were 34.65 ± 3.28 and 3.87 ± 0.88mm, respectively. Mean distances from the asterion to the T/S junction were 6.77 ± 2.31 mm caudal and 7.37 ± 2.37mm lateral. The asterion was located on the T/S junction in 10 (76.9%) on the right side, 9 (69.2%) on the left side,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gle of T/S junction and cranial index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of SS, age and width of TS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P<0.05 resprectively). Conclusion: In Koreans, It was confirmed that the location of the T/S junction predicted by the described anatomical landmarks was inconsistent with the location of the actual junction of the T/S junction for the retrosigmoid approach. Considering the cranial index of Koreans, The SH was a major surface landmark with minimum variance suggesting the anatomical relationship, providing guidance for individual posterior fossa surgery. This study provided guidelines for the retrosigmoid approach in Koreans. The ‘keyhole’ for T/S junction was confirmed at least 35 mm posterior and 4 mm superior to the SH.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15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01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