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5 0

항일무장투쟁영화의 인물 전형성 탐구, 1945-1967

Title
항일무장투쟁영화의 인물 전형성 탐구, 1945-1967
Other Titles
Exploring North Korea's Anti-Japanese Guerilla Cinema and Stereotypical Characters, 1945-1967
Author
김승경
Advisor(s)
정태수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이 논문은 북한의 유일한 혁명전통인 항일무장투쟁을 소재로 한 영화들을 통해 북한만의 공산주의형 인간형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3단계로 나누어 ‘긍정적 인물형의 탄생’, ‘공산주의 교양인의 형성’, ‘유격대식 인간형의 정착’으로 정의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만의 공산주의 체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이용된 영화의 소재가 항일무장투쟁이라 보았다. 왜냐하면 북한이 추구하는 공산주의 사회는 소련에서 이식된 새로운 체제가 아니며 일제강점기부터 인민들이 원하고 바랐던 사회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현재 북한인민들이 추구해야할 삶의 모습은 일제강점기 유격대원들을 비롯한 공산주의자들이 이미 살았던 모습으로 그때의 영웅들을 전형 삼아 모방하고 닮아가야 했다. 공산주의 인간형 형성 과정 3단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단계는 해방 직후부터 1953년까지를 포괄한다. 여러 정치인들 중 하나였던 김일성은 다른 유력한 정치지도자들과의 관계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유격대 활동을 강조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김일성의 행동은 소련의 묵인 혹은 지원 하에 계속되었다. 항일무장투쟁 첫 영화인 <내 고향>을 통해 일본군과 지주는 동일선상에 놓이기 시작했고, 그들에게 대항해 항일투쟁과 계급투쟁을 벌이는 긍정적인 인물형이 탄생하였다. 이 영화에서는 투쟁의 활동을 스케치하듯 보여주는데 이는 투쟁 ‘과정’보다는 투쟁 ‘사실’을 알리는 것에 더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다. 이 영화에서 중요한 것은 무장투쟁의 핵심은 김일성과 그가 이끈 유격대라는 것과 그들이 지금의 북조선을 새롭게 건설하는 주체라는 것이었다. 2단계는 1954년부터 1960년에 해당한다. 전쟁 후 북한은 폐허가 된 북한 전역을 복구하고, 사회주의 공업국가로 나아갈 계획을 수립했다. 여기에 가장 필요한 것은 경제적인 뒷받침과 이 계획을 실행해 나갈 인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이었다. 이 시기 항일무장투쟁영화들은 당이 요구하는 전형을 그대로 반영하기 시작하는데, 이들은 모든 일에 앞장서며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자신을 기꺼이 희생할 줄 아는 인물로 그려졌다. 아직은 제한된 다양성이 존재하는 속에서 인물들은 보편적인 공산주의자의 모습을 보였다. 시대와 장소를 특정할 수 없는 보편적인 공산주의 인물형은 천리마 운동이 시작되면서 보다 북한사회의 요구와 직결되는 인물형으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특히 난관을 극복하는 대원들의 내적투쟁에 집중하면서 어려움과 고난이 있을 때에도 정신무장을 통해 맡은 일을 지체 없이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시켰다. 현재의 인민들은 유격대의 정신을 이어받아야 했다. 이렇듯 영화에서는 과거의 항일무장투쟁과 현재의 인민을 연결하기 시작했다. 3단계는 1961년부터 1967년까지이다. 이때는 유격대원과 현재 인민들을 연결하는 서사가 강력해지고, ‘구체성’과‘현대성’을 내세워 1960년대의 인민대중이 어떤 자세로 살아가야 하는가를 직접적,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집단주의 사상은 더욱 강조되고, 대원들이 죽음으로 지켜낸 것이 무엇인가에 더 초점이 맞추어졌다. 이 시기 영화들이 갖는 또 하나의 커다란 변화는 김일성과 유격대의 역할이 변화되었다는 것이다. 결국 항일무장투쟁영화는 ‘조선 인민을 선도하는 수령은 누구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김일성의 위대함을 알아가는 과정으로 변화되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10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85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