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 경극(京劇)의 발전과 현대적 양상에서 나타난 상호매체적 수용에 관한 연구 | 이선진 |
2023 | 지각의 주체로 기능하는 영화 속 신체 이미지 연구 | 이원영 |
2022 | 해방 이후 한국 영화의 리얼리즘 연구 (1945∼1965) | 이준엽 |
2022 | ‘기억하기’의 수행성으로 본 한국 현대 공연 공간의 ‘관계 맺기’ 연구 | 홍은재 |
2021 | 하이브리드 개념을 통한 ‘포스트블랙박스 극장’의 가능성 탐구 | 전순열 |
2021 |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이론을 통해 본 지아장커(賈樟柯) 영화 속 공간 연구 | 왕겅이 |
2021 | ‘낯섦’을 활용한 현대연극의 표현양식 연구 | 김경아 |
2020-08 | 항일무장투쟁영화의 인물 전형성 탐구, 1945-1967 | 김승경 |
2020-08 | 영상(映像) 이전의 한국 영상(影像)미학 연구 | 남기웅 |
2020-08 | 문화 번역 실천으로서 21세기 한국 영화의 초국적 혼종성 연구(2010~2019) | 박소연 |
2007-02 | 포스트 할리우드 시대의 미국영화 산업에 대한 연구 | 송낙원 |
2007-08 | 재현의 위기 시대의 메타 담론 연구 | 서대정 |
2007-08 | 영화와 TV 시리즈의 내러티브 구조와 수용에 관한 연구 | 남명희 |
2007-08 | ‘억압받는 사람들의 연극공간-해(解)’의 작업에 활용된 A. 보알(Augusto Boal) 연극 메소드 | 김현정 |
2008-08 | 영화적 재현에 있어서 기억의 연구 | 장민용 |
2009-08 | 전시체제 하의 조선영화, 일본영화 연구 (1937~1945) | 함충범 |
2010-02 | 한국영화산업의 보호정책과 이익집단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양경미 |
2010-02 | 활동사진시기 조선영화산업 연구 | 한상언 |
2010-02 | 1990년대 이후 한국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변형 양상과 요인에 관한 연구 | 윤성은 |
2010-02 | 안성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의 구조와 효과에 관한 연구 | 김상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