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남경숙-
dc.contributor.author채완리-
dc.date.accessioned2020-08-28T16:53:50Z-
dc.date.available2020-08-28T16:53:50Z-
dc.date.issued2020-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080-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526en_US
dc.description.abstract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공간의 형태와 개념이 변화하면서 복합화 된 공간을 이용하는 방식도 다양해지고 있다. 한국의 경우 2000년대 후반부터 복합 상업 시설이 등장하여 대규모 백화점이나 쇼핑몰 등이 고유의 단편적인 기능 외에 엔터테인먼트와 쇼핑이 결합한 복합 상업공간으로 전환되기 시작하였다. 현대 사회에서는 근무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개인의 여가시간이 증가하고 다양해진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고 현대인의 바쁜 일상생활 속에서 문화적 향유를 누리고 싶어 하는 욕구의 증가로 인해 심리적 감각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 패턴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살펴보면 공간이 사용자 중심으 로 변화하고있다는 것을알 수있다. 또한현대 사회에서사회구성원들의 인 간 본연의 욕구는 자신이 소속된 공동체의 가치를 내포한 커뮤니티 영역에서 의 결속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커뮤니티 영역은 단순히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 는 매체가 아니라 기본적인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 중심 측면에서 새로운 부가 가치와 추세를 이끄는 감성적인 공간으로 변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광장, 야 외 마당, 로비, 휴식 공간 등의 다양한 커뮤니티 영역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 램을 접하고 공통된 감성이나 가치성이 형성될 수 있다. 커뮤니티 영역은 필수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설이고 각각의 차별화 된 복합문화공간의 기능을 향상 발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커뮤니티 영역을 이용한 사용자의 경험을 파악하 기 위하여 사용자 중심으로 사용자 경험(UX)과 서비스디자인을 바탕으로 진행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한국 도심 서울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인 4곳을 선정한 다음 그 공간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많은 커뮤니티 영역에서 사용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공간을 이용한 사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서비스디자인의 사용자 리서치 방법인 섀도잉(Shadowing)을 통해 공간에서 사용자의 행동을 관찰하였다. 또한 맥락적 인터뷰(Contextual Interview)을 통해 공간을 이용 한 사용자의 의견을 도출하였다. 복합문화공간인 커뮤니티 영역을 이용한 사용자의 종합 분석에 대한 결과 를 보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복합화 된 공간 구조와 시설은 공간의 장점으로 생각하였지만 복잡한 된 공간 구조는 사용자의 이동 동선에 혼란을 주었다. 또한 공간이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내 용을 쉽게 파악하지 못했고 사용자는 커뮤니티 영역을 다른 시설과 같은 공간 으로 인식하지 못했으며 사용자의 감각적인 감성을 유발하지도 못했으며 다른 시설에 대한 접근성도 떨어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UX특성을 바탕으로 커뮤니티 영역을 휴식공간과 이벤트 공간으로 나누었고 각각에 대해 적합한 서 비스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현대는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시대이며 디자이너나 서비스 제공자는 다양 한 사용자 리서치 방법을 통해 사용자들의 무의식적인 기대 경험을 찾아내는 것과 사용자의 기대이상의 경험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공간뿐 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를 조사할 때 다양한 데이터를 얻기를 위해 서는 다양한 사용자 리서치 방법과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을 함께 도입할 필요 가 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사용자 경험중심의 복합문화공간 커뮤니티 영역 서비스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Service Design Guidelines for Community Space in Cultural Complex Space Based on User Experienc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채완리-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Tsai Wan Li-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실내건축디자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