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종합병원의 기능혼합에 따른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국내 종합병원의 기능혼합에 따른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ing about the Changes in the Space 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Mixed Function of the General Hospital.: Focused on the St. Mary's Hospital
Author
배송이
Alternative Author(s)
Bae, Song-Yi
Advisor(s)
양내원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내 종합병원은 인구구조의 변화와 질병구조의 변화, 의료정책의 변화, 의학 기술의 발전 등 의료 환경의 변화에 의해 급속하게 변화되어 왔다. 따라서 의료시설 계획에는 다양한 사회의 요구와 변화가 반영되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지어진 대표적인 종합병원인 강남 성모병원의 건립 당시와 현재 병원 그리고 2009년 개원예정인 새 병원에서 나타나고 있는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30년에 걸쳐 국내 종합병원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파악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국내 종합병원의 중앙진료부 병상당 순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는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의료장비가 도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강남 성모병원 현재 병원의 중앙진료부에서 나타나고 있는 병상당 순면적은 중앙진료부가 몇 차례 증축됨에도 불구하고 건립 당시보다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2) 외래진료부의 병상당 순면적은 시대가 흐름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외래진료부가 새로운 부서의 도입과 기존 외래 각 과의 발달에 따른 독립화, 센터화로 면적의 증가가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산업화와 자동차의 보급으로 인한 재해의 증가로 인해 응급부 면적에 대한 요구도 크게 증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강남 성모병원 외래진료부의 병상당 순면적도 건립 당시 이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 병원의 병원 전체 병상당 순면적은 건립 당시보다 감소하고 있는 반면 외래진료부의 병상당 순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그동안의 증축 및 기존 실들의 용도변경이 외래진료부를 중심으로 일어났음을 뜻한다. 3) 병동부의 병상당 순면적도 꾸준히 증가하게 된다. 이는 1990년대 중반 이후 건립되는 병원들에서는 치유환경의 개념이 도입됨에 따라서 환자를 위한 편의 공간의 면적이 증가하고 좀더 나은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간호제실의 면적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강남 성모병원은 1988년 병동부를 증축하지만 기존의 1인실을 2인실로, 6인실을 7인실로 변경하여 사용함에 따라 현재 병원 병동부의 병상당 순면적도 건립 당시에 못 미치게 된다. 4) 강남 성모병원의 건립 당시와 새 병원의 중앙진료부에서 나타나고 있는 검사?치료 기능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병원의 검사?치료 기능은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중앙진료부의 증축이 의료장비를 수용할 수 있는 검사실 위주로 일어났음을 알 수 있으며, 건립 당시에서 현재에 이르는 동안 중앙진료부 내의 교육연구기능이 감소한 것은 검사?치료기능 공간이 부족하게 되자 교육연구기능에서 부족한 면적을 충당하고 있는 것이라 판단된다. 5) 외래진료부에서의 기능 혼합 양상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질병의 발생 원인이 과거보다 복잡하고 다양해지면서 외래부문의 각 진료과가 전문 진료 영역별로 세분화되어가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강남 성모병원의 건립 당시와 현재 병원에서는 진료기능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새 병원에서는 진료 기능보다 검사?치료 기능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중앙진료부에 위치하고 있던 검사?치료실이 외래진료부로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유입된 실들은 주로 생리기능검사부의 기능검사실로 나타나고 있다. 중앙진료부에 위치하고 있던 검사실들이 외래진료부로 유입됨에 따라 이에 따른 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따라서 외래진료부 내에서 관리 기능이 차지하는 비율도 점차 높아지게 된다. 교육연구기능이 차지하는 비율도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외래 각과의 협진체계가 활성화됨에 따라 의료진이 회의를 할 수 있는 공간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6) 병동부에서는 시대의 흐름에 따른 기능의 혼합 양상이 거의 나타나고 있지 않고 있으나, 병동기능을 병실공간과 환자편의공간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환자편의공간이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환자를 위한 치유환경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7) 각 부문에서 나타나는 기능 혼합 양상은 병원의 배치 유형에도 변화를 일으킨다. 외래진료부에 중앙진료부에 위치하고 있던 검사실들이 유입됨에 따라 환자 외래 각 과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중앙진료부와 외래진료부의 배치 유형에 있어서 과거에는 기피되었던 수직형배치가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병원의 기능 혼합이 일어나게 되고 이는 각 부문이 수행하고 있는 고유 기능에도 변화가 생겼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능의 혼합은 병원의 배치 유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병원 내의 공간의 배치 방식은 시대에 따라 변화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병원 건축 계획에서 각 부문의 기능과 역할의 변화를 미리 예측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건축적인 공간의 배치 계획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development of a general hospital has a close connection with the trend of the society in general and it flows to the ways that satisfies the demanded value of the time. Therefore, various internal changes have occurred since a hospital has built. The changes is appearing through the time not only in the quantitative changes, but also in functional changes and correlations between each department. This study focused on these changes, and observed the St. Mary?s Hospital ? one of the major hospitals - which is constructed in 1980?s. And then, it was divided into the D/T, O.P.D and ward as function that focused on the time of hospital?s establishment (1980), the present (2006), and new hospital (2009) to observe the changing aspect of the function and department. As a result, according as age passes, this study shows function of each department is mixed. Among the D/T, O.P.D and ward, mixing functions of O.P.D is most notable. The mixing function brings changes in hospital's arrangement type. In the past , verticality style hospital was evaded, but recently verticality style hospital is appearing.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forecast the new aspects of hospital and apply it to the new projec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39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75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USTAINABLE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