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3 0

Yeats의 시에 나타난 성서적 이미저리 연구

Title
Yeats의 시에 나타난 성서적 이미저리 연구
Other Titles
The Biblical Imagery in the Poetry of W. B. Yeats
Author
정연욱
Alternative Author(s)
Chung, Yun-Wook
Advisor(s)
이영석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Yeats와 성서를 직접 연관 지은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Yeats는 기독교적 틀에 제한 받지 않고 아일랜드 고유의 신화, 신비주의, 동양사상 등을 통해 자신만의 특유한 종교관을 형성했다. 그러나 Yeats는 어린 시절부터 기독교의 영향 아래 있었고, 49세까지 성서를 읽었다. 그의 시에는 300여 개의 성서적 용어가 나온다. 그의 시 "Sailing to Byzantium"에는 「요한 계시록」의 말씀이 인용되어 있다. Yeats는 성서적인 요소를 자신의 작품에 적절히 사용하여 자신만의 특유한 시를 만들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Yeats의 시에 나타난 성서적인 이미저리를 찾아 Yeats의 종교적 비전을 밝히는데 있다. Yeats는 처음부터 종교적 비전을 가지고 있다. 그의 초기 시에는 비록 현실도피적인 꿈의 세계로 향하지만 인간가치의 회복과 구현의 사상이 자리 잡고 있다. 잿빛 진리(Grey Truth)로 변한 현실은 참된 인간적 가치를 회복시킬 수 없기 때문에, 그는 꿈의 세계를 통해 인간 본질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그가 중요하게 다루는 것은 존재의 통합이다. Yeats의 인간가치의 상실과 회복의 개념은 성서적 개념과 일치한다. 성서의 중심적 내용은, 인간의 범죄로 인한 인간가치의 상실과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상실된 인간가치를 다시 회복하는 것이다. Yeats가 인간가치를 회복하는데 존재의 통합을 중요시 한 것처럼, 성서에도 인간과 하나님과의 화목을 통한 인간가치의 회복이 강조된다. Yeats의 전체적인 종교적 비전에 대한 꿈은 성서적 이미저리와 밀접한 상관성을 지닌다. 그의 시 "Among School Children"은 종교비전의 완성 단계인 존재통합의 상태를 보인다. 이 시의 창조적 상상력은 성서적 이미저리와 유사하다. 이 시에서 밤나무는, 생명력으로 자연스럽게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 이미지를 통해서 인간의 인위적인 노력의 한계를 초월한 영역을 묘사한다. 성서에서 그리스도의 형상을 본받는 것은 성도들의 인간적인 노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구원받을 때 얻은 영원한 생명의 능력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아들(그리스도)의 형상을 본받는 것이다. 이것은 밤나무의 비유와 유사한 경우이다. Yeats는 신비주의와 힌두 철학, 그리고 개인적인 체험들을 통해 신인연합(神人聯合) 사상을 형성한다. 이것은 Yeats가 궁극적인 존재와의 통합이라는 예술적 탐구의 세계로 들어가는 데 도움을 준다. "Leda and the Swan"과 "The Mother of God"에 나타나는 신인연합의 과정은 Yeats의 이원론적 사고체계가 생각보다 뿌리 깊다는 점을 보여준다. "Leda and the Swan"에서 백조의 일방적인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레다의 수동적 모습은, 성서의 악한 영과의 교류 장면을 연상하게 한다. 반면, "The Mother of God"에서 마리아가 비록 두려워 하지만 능동적인 입장에서 시의 전반적 분위기를 주도하는 것은, 성서 곳곳에 나타나는 거룩한 영과 인간과의 교제와 비슷하다. "Leda and the Swan"에서는 또한 인간의 운명의 문제가 다루어지고 있다. 백조의 모습을 한 제우스를 통해 레다는 힘(power)과 지혜(knowledge)를 부여 받는다. 이 신인연합의 결과로 신에게 물려받은 힘과 지혜가 인간의 운명을 결정한다는 메시지가 이 시에 담겨있다. 이것은 범죄로 인해 사람 속에 죄가 거하게 된 것과 그리스도를 통해 죄의 사함을 받고 영생을 얻어 신의 본성을 부여 받는, 성서적 이미저리와 같은 맥락이다. Yeats의 탑의 이미지는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사닥다리 이미지와 유사하다. 그는 현실적인 세계를 초월하고 성취한 것들을 다시 지상의 현실세계로 연결하려 노력한다. 이는 그리스도가 지상의 인간을 하나님에게로, 하늘의 하나님을 사람에게로, 연결시키려는 구원자적 구도와 흡사하다. 그리스도가 현실세계로 성육신하고 죽임을 당하고 부활하여 초월적인 영역으로 승천 한 것과, 다시 성령을 통해 이 땅에 교회를 세우는 것 - 모두 것은 사람들에게 그리스도 자신이 성취한 것을 인간에게 실제적으로 적용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Yeats는 투쟁과 갈등을 거쳐 초월적인 영역에 도달하려 하고, 이것을 작품으로 후대에 남기려 한 점은 이러한 그리스도를 통한 성서의 구원사적 과정과 비교된다. 다시 말해, Yeats는 자신의 종교적 비전속에 공상의 차원을 넘어 종교의 실제성과 유용성을 부여한 것이 보인다. 마지막으로 Yeats의 존재통합은 그의 종교적 비전의 완결이란 점이 검토된다. 이 단계에 있는 그의 시에는 존재의 통합을 향한 갈등과 투쟁, 그리고 창조적 상상력이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그의 시에 나타난 인간의 양면성을 통한 자아와 반자아의 갈등과 투쟁적 모습은, 성서에서 바울이 선한 마음의 법과 죄의 법 사이에서 갈등하는 이미저리와 비슷하다. 결론적으로, Yeats의 종교적 비전과 예술 세계의 저변에는 성서적 이미저리가 깔려 있다. 그는 성서의 내용을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자신만의 시적 세계를 구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외적으로는 성서적 영향이 Yeats의 범종교적인 종교관 속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Yeats의 종교적 비전과 성서적 이미저리는 겹쳐져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Yeats 연구에 있어서, Yeats와 성서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소홀히 다루어졌던 점은 수정되어야 한다.; This dissertation aims at looking for the Biblical imagery in the work of W. B. Yeats, particularly in his poetical work, and studying how it helps to enhance the depth and richness in his poetry. He longed to restore man's values and save him. Throughout his poetic career he had such a strong intention of bringing back true human values in his work, as he thought humanity has continually declined since the fall of Adam and Eve. Yeats, even in his early poetry, made efforts to address such an issue, finding the weakness of humanity instead of escaping the world and hiding. I disagree with others who find escapism in his early poems. We can find in his work the images that may have originated from The Bible, which proves that he seems to have had a strong attraction to things religious, though he never declared that he believed in God. His idea of God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God; it is not abstract but concrete and practical. The imagery of the ladder in The Bible and that of tower in his poetry are identical. Yeats's wish to enhance values of humanity and to save mankind is expressed in much of his poetry. To Yeats, the Unity of Being is an important concept, the culmination of the poetic efforts that he had made to restore and save human values. 'The Unity of Being is achieved through the struggles and conflicts taking place in the world we live in. Yeats joined the world and was in direct contact with it, thus building up his poetic theory of the Unity of Being, which is seen in this dissertation as a system of religion. This dissertation studies how Yeats applied his idea of religion to his writing of poetry. As said in his letter, humans can embody the truth but can not know it; Yeats had been in pursuit of such truth, in the writing of poetry. For him, the indomitable will to going after the truth outweighs the results, and his poetry is the results of such pursuits of the poetic truth.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23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61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LANGUAGE & LITERATURE(영어영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